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동양광산 / 東洋鑛山 [경제·산업/산업]
충청북도 충주시 목벌동에 있는 활석광산(滑石鑛山). 국내 최대규모의 활석광산으로 1929년 일본인에 의하여 개발되었고, 1949년에 동양활석광업주식회사가 인수하여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다. 옥천계(沃川系)의 변성퇴적암류인 함력청맥암(含瀝靑脈岩)의 마그네슘 함유광물 즉
동양척식주식회사투탄의거 / 東洋拓殖株式會社投彈義擧 [역사/근대사]
1926년 의열단원 나석주가 일제의 한국 경제 침략의 총본산인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습격하여 폭탄을 던진 의거. 나석주는 민족지도자 김창숙의 권유를 받고, 조국을 강탈하고 농민을 착취하는 대표적 일제 침략 기관인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 등을 습격하였고, 이후 순국하
동여전도 / 東輿全圖 [지리/인문지리]
전국 도별도와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등을 수록한 지도집. 크기는 세로 24㎝, 가로 17㎝이며,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각 1매와 전국 8도 각 1매씩 전체 11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도를 「대조선국전도」라고 한 것으로 보아 대한제국
동유감흥록 / 東遊感興錄 [문학/고전시가]
심복진(沈福鎭)이 지은 일본국기행가사집(日本國紀行歌辭集). A5판. 28면. 국한문활자본.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에서는 동화정책상(同化政策上) 지방군수·면장 등 공직자 가운데서 단원을 모집하여 3∼4주간 일본 각지를 관광시켰다. 그 뒤 그들이 본 것 중에서 일본의 발
동자례 / 童子禮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 동자들에게 가르치는 예절을 모아 예절의 교과서로 사용한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1910년 후손 도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와 이중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발·김종하·김휘철·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검속신심 11편, 사부사사 11편, 서당
동정집 / 東亭集 [종교·철학/유학]
동정 이병호의 문집. 4권 2책. 석인본. 서문은 없고, 발문은 제자인 재종질 이선구와 서주 김사진이 1934년에 지었다. 표제는 동정집이고 판심제는 동정유고이다. 이 책은 최병인, 정태진, 권종원, 김사진 등이 원고를 수합한 뒤 면우 곽종석에게 교정을 받아서 간행되었
동제사 / 同濟社 [역사/근대사]
1912년 7월 중국 상하이에서 신규식 등이 국권회복운동을 위해 조직한 단체. 신규식이 상하이에서 독립운동가와 유학생들을 규합, 1912년 7월 4일 ‘동주공제(同舟共濟)’를 표방하면서 동제사를 조직하였다. 독립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청년교육에 주력하면서, 1913년 1
동지식산회사 / 同志殖産會社 [경제·산업/산업]
1925년 12월 13일 하와이 대한인동지회에서 설립한 합자회사. 동지식산회사는 하와이의 대한인동지회(총재 이승만)가 경제적 자급자족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추진된 사업이었다. 1925년 12월 13일 설립 당시의 임원진을 보면, 사장 신성일, 부사장 김
동학서 / 東學書 [종교·철학]
동학에 관한 여러 문적을 모아 엮은 책. 필사본으로 편자와 편집연대는 미상이다. 편차와 내용이 중복되어 있는 것을 볼 때 간행목적으로 편집된 것이라기보다는 자료를 수집, 보관하기 위해 엮은 책인 듯하다.
동학운동 / 東學運動 [역사/근대사]
1894년 전라도 고부의 동학접주 등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운동. 동학농민운동은 전라도 고부군에서 일어난 민란에서 비롯되었다. 고부민란으로부터 1년여에 걸쳐 전개되었던 동학농민운동은 결국 실패하였으나, 여기에 참가한 동학농민군은 뒤에 항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