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2,22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시종신 / 侍從臣 [역사/근대사]

    조선시대 이후 국왕을 가까이에서 모시며 국사를 처리했던 신하의 총칭. 홍문관의 옥당, 사헌부 및 사간원의 대간, 예문관의 검열, 승정원의 주서 등을 일컬었는데, 구한말 때의 시종원에는 경 1인, 시종장, 시종, 시어, 봉시 등의 관직이 있었다. 이 밖에도 시강원이나 황

  • 시종원 / 侍從院 [역사/근대사]

    1895년 관제개혁 때 임금의 비서, 어복, 어물, 위생 등을 맡았던 궁내부 산하 관서. 종래의 경연청이 폐지되자, 시종원에서 시강과 시종을 담당하였다. 그 뒤 경연원이 다시 설치됨으로써 시강 업무는 그곳으로 넘어갔으며, 1910년 폐지되었다.

  • 시중노남리남파동고분군 / 時中魯南里南波洞古墳群 [역사/선사시대사]

    북한의 자강도 시중군 노남리 남파동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고분군. 1967년 독로강댐 수몰지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굴되었다. 노남리 일대에는 3개의 고분군이 있는데 간평고분군, 남파동고분군, 내평고분군이 그것이다. 이 중 남파동고분군은 노남리에 있는 고분군 중 고분의

  • 시책 / 諡冊 [역사/조선시대사]

    시책문을 옥이나 대나무에 새겨 책의 모양으로 만든 것. 국왕과 왕비가 죽으면 그 공덕을 기리어 시호를 올리고 옥책을 만들었으며,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경우에는 죽책을 만들었다. <상례보편>에 의하면 국왕과 왕비의 옥책은 길이가 9촌 7푼, 너비가 1촌 2푼, 두께가 6

  • 시흥부곡리유적 / 始興富谷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옛 시흥군 군포읍) 에 있는 원삼국시대에서 백제시대에 걸친 시기의 생활 유적. 이 유적에서는 백제시대의 야외화덕 1개가 확인, 조사되었으며, 그 밖에 유물포함층에서 원삼국시대에서 백제에 걸치는 토기편이 다수 채집되었다. 발굴지점이 산비탈의 아래쪽

  • 시흥오이도유적 / 始興烏耳島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의 오이도에 있는 조개더미[貝塚]와 주거지 유적. 시흥 오이도유적은 신석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이후 시대의 조개더미·주거지 유적이나 신석기시대를 중심으로 한다. 2002년 4월 1일 사적 제441호로 지정되었다. 1960년 안

  • 식산계 / 殖産契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 조선금융조합연합회에서 '식산계령(殖産契令)'에 따라 조직한 계. 1935년 농촌금융조합의 증설과 함께 등장하기 시작한 이후 그 필요성이 계속 증대되었다. 식산계는 금융조합의 지시에 따라 생산물의 공동판매와 생필품의 공동구입을 도모하는 한편, 농산물 창고를 공

  • 신간회 / 新幹會 [역사/근대사]

    1927년 2월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자들이 연합하여 서울에서 창립한 민족협동전선. 국내 민족유일당운동의 구체적인 좌우합작 모임. 창립 당시부터 좌우익 간의 갈등·대립으로 분란이 계속되던 신간회는, 1931년 5월 16일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에서 대의원 77명이 참석한

  • 신미양요 / 辛未洋擾 [역사/근대사]

    1871년 미국 아시아함대가 강화도에 쳐들어온 사건. 1871년 미국의 아시아함대 사령관 로저스(Rodgers, J.)가 해군함대를 동원하여 조선 원정을 한 것으로, 6월 10일 초지진 상륙작전을 단행하였다. 상륙 군 부대를 10개 중대로 편성하고, 포병대·공병대·의무

  • 신민부 / 新民府 [역사/근대사]

    1925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 운동 단체. 북만주 지역의 독립 운동 단체들이 효과적인 항일 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통합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1925년 1월길림성 목릉현에서 부여족통일회의가 개최되고 그해 3월 10일영안현 영안성 내에서 결성되었다. 이후 각 분야에 걸

페이지 / 22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