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동경대전 / 東經大全 [종교·철학]

    동학경전 중의 하나. 용담유사와 함께 동학의 2대 경전에 속한다.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의 네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학의 제2대 교주인 최시형이 1880년 강원도 인제군 남면 갑둔리에서 완간하였다. 포덕문은 525자, 논학문은 1,338자, 수덕문 1,0

  • 동경성전투 / 東京城戰鬪 [역사/근대사]

    1933년 6월 한국 독립군이 중국군과 연합해 동경성(東京城)을 탈환한 전투. 한국 독립군은 1932년 중국호로군 정초(丁超)와 협의한 뒤 한·중연합군으로써 토일군(討日軍)을 조직하여, 1933년 5월 3일 전 병력을 동원해 영안현성과 동경성을 공격하였다.

  • 동경통지 / 東京通志 [지리/인문지리]

    최준이 『동경잡기』를 수정·보완하여 1933년에 간행한 지방지. 14권 7책. 활자본. 최남선(崔南善)과 정인보(鄭寅普)의 편집 자문을 받아서 펴낸 것이다.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1은 족본편(族本篇), 권2·3은 왕기편(王紀篇), 권4는 연혁(沿革)·강역(疆域)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유진성의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41년에 증손 병찬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1에 시 123수, 권2에 서 12편, 전 2편, 잡저 4편, 서 4편, 권3에 기 10편, 상량문 4편, 애사 1편, 축문 2편, 제문 22편, 묘갈명

  • 동국명현언행록 / 東國名賢言行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이병관(李炳觀) 편, 신연활자본, 1927년, 4권 1책. 구성은 서언, 범례, 서, 총목, 제1편-제4편이다. 신라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유학의 발전에 공헌이 큰 유학자 150여명의 행적과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 동국병감 / 東國兵鑑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별사류(別史類) 문종(文宗) 명편, 신역활자본, 경성, 조선광문회(1911), 2권 1책. 판권기는 명치44년(1911) 7월 20일 최남선(崔南善)으로 되어 있다. 문종의 명으로 간행한 우리나라의 전사, 조선광문회에서 민제호(閔濟鎬)의 기증본으로 19

  • 동국사략사대문궤 / 東國史略事大文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 편, 영인본, 서울, 조선총독부, 1935, 목록 1책, 23권 23책(합 24책).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구규장각본잔존본 23권(전 54권)의《동대문궤(東大文軌)》(훈련도감자본)를《조선사사료총간(朝鮮史史

  • 동국세시기 / 東國歲時記 [생활/민속]

    우리나라 세시풍속을 모아 정리한 책. 조선 순조 때의 학자 홍석모(洪錫謨)가 중국 종름(宗凜)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를 모방하여 우리 민속을 정리하여 <동국세시기>를 지었다. 이 책은 원래 한 권의 필사본으로 전해져 왔는데, 홍승경(洪承敬)이 광문회(光文會)에 기

  • 동국씨족고 / 東國氏族攷 [사회/가족]

    조선 말기 노상직(盧相稷)이 우리나라 역사상 저명한 인물을 성씨의 본관별로 기술한 책. 6권 3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정미(丁未)로만 밝혀져 있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07년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역사상 저명한 인물을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시

  • 동국여지비고 / 東國輿地備考 [지리/인문지리]

    조선시대의 국가 및 서울의 지리적·제도적·인문적 사항을 기록한 지리서.인문지리서. 2권 2책. 필사본. 본문에 정조 때의 내용이 언급된 것으로 보아 정조 때 이후인 19세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측되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내용 구성은 제1권 경도(京都)와 제2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