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서윤 / 庶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평양부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9년(예종 1)에 한성부의 관제를 개혁하여 종래의 정4품관이던 소윤을 없애고 종4품관으로 서윤을 두었다. 판윤·좌윤·우윤 등을 도왔는데, 1887년(고종 24) 관제의 개혁으로 폐지되었다. 세조 12년(1

  • 서장관 / 書狀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부경사행 3사신 가운데 한 사행직. 중국에 보내던 부경사행의 일행인 정사·부사·기록관 등의 3사신 중 기록관으로 외교문서에 관한 직무를 분담하였다. 서장관은 사행중 매일매일의 사건을 기록하고 돌아온 뒤에는 왕에게 견문한 바를 보고할 의무를 가지고 있었다.

  • 서적점 / 書籍店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문종 때 서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기관. 소속관원으로 녹사 2명과 이속으로 기사 2명, 기관 2명, 서자 2명을 두었다. 1392년(공양왕 4)의 기사에서 주자와 서적의 인쇄를 관장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그 이전에도 단순히 인쇄된 서적뿐만 아니라 주자

  • 서침 겸유곡도찰방 해유문서 / 徐琛 兼幽谷道察訪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24년(경종 4) 3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兼巡察使)에게 올린 첩정이다. 서침(徐琛)은 필하(必遐)의 아들로 1717년(숙종 43) 문과에 급제하였다. 1722년(경종 2) 3월 27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년 4월 11일에 사조(辭朝)한 후 동월 16

  • 서해도 / 西海道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5도의 하나. 지금의 황해도 지방에 비정된다. 태조 때 고려의 영역이 되었으며, 995년(성종 14)에 10도제를 실시할 때 관내도에 소속되었고, 1018년(현종 9)에 서해도로 되었다. ≪고려사≫ 지리지에 나타난 이 때의 서해도 관할구역은 1대도호부 1목

  • 서헌순제유문 / 徐憲淳提諭文 [정치·법제]

    1855년(철종 6) 2월과 10월에 철종이 신임 전라감사 서헌순(徐憲淳)과 신임 평안감사 김정집(金鼎集)을 각각 소견하고 제유한 내용을 기록한 문서. 철종이 신임 감사들에게 제유한 주된 내용은 '국왕의 뜻을 잘 체득하여 백성들을 보살피기를 마치 어린아이들을 돌보듯이,

  • 석말 / 舃襪 [정치·법제]

    신과 버선. 석은 왕복 중에서 조ㆍ제복에 착용하는 신이다. 보통의 신은 단층으로 되어있으나 석은 겹으로 되어 있어 상층은 가죽이고, 하층은 목재로 되어 있다. 기록에 의하면 예를 행할 때 오래 서있으면 발바닥이 축축해지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나무를 댔다고 한다. <영

  • 선공감 / 繕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토목과 영선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문종 때 관제를 고쳐 판사(종3품)·감(정4품)·소감(종4품) 각 1인, 승(종6품) 2인, 주부(종7품) 2인을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선공감,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선공사(繕

  • 선관서 / 膳官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제향과 연회의 음식을 담당하던 관부.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관제개혁시 종래의 대관서를 개칭한 것이다. 독립관부에서 사선서의 속사가 되었다고 하는 제도적인 개편도 있었다. 그 뒤 1356년(공민왕 5)에 대관서, 1362년에 선관서, 1369년에

페이지 / 2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