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구방 / 九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 형조 안에서 형조의 소관업무를 관장하던 9개의 실무부서. 형조의 업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의 복주를 관장하는 상복사(詳覆司), 율령의 조사연구를 관장하는 고율사(考律司), 형옥금령을 관장하는 장금사(掌禁司), 노비와 포로를 관장하는 장례사(掌隷
구봉곡개 / 九鳳曲盖 [정치·법제]
봉황을 그리고 자루가 구부러진 일산. 아홉 마리의 봉황을 그린 일산(日傘)으로 자루가 구부러진 형태이며 보통 한 쌍으로 사용한다. 비단 위에는 아홉 마리의 봉황 사이에 구름, 꽃 등을 금색으로 그린다. 일산의 규모는 높이가 2척, 지름이 5척 2촌이다. 구부러진 우산
구봉령 / 具鳳齡 [종교·철학/유학]
1526(중종 21)∼1586(선조 1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문정공 구휘 8세손, 할아버지는 중좌승지 구중련,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구겸의 아들, 어머니는 권회의 딸이다. 외종조 권팽로『소학』을 배워 문리를 얻고, 1545년 이황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대
구봉문집 / 九峰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김수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6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목활자본. 1866년(고종 3) 저자의 7대손인 지립(志立)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규석(鄭奎錫)·조두순(趙斗淳)·이정관(李正觀)의 서문과 권말에 유진익(柳進翼)과 지립의 발문이
구봉서원 / 九峰書院 [교육/교육]
평안북도 벽동군 벽동면 일동리에 있었던 서원. 1697년(숙종 2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민정중(閔鼎重)과 민유중(閔維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01년에 ‘구봉(九峯)’이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
구봉서원 / 九峰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평산군(현재의 황해남도 봉산군) 적암면 갈산리에 있는 서원. 1696년(숙종 2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세채(朴世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연곡리의 불치산(佛峙山) 아래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듬해 ‘구봉(九峯)’이라고 사액되었으며, 선현배향과
구봉서원 / 九峰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었던 서원. 1665년(현종 6)에 백동현(白東賢)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의장(朴毅長)과 박홍장(朴弘長)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다가, 흥선대원군의 서원
구봉시고 / 九峰詩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강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4년 강재의 5대손 강세영(姜世永)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시건(李時健)의 서문과 권말에 강세영의 발문이 있다. 불분권 1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시 1
구봉실기 / 九峰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도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0년에 간행한 시문집.실기. 2권 1책. 목활자본. 1880년(정조 24) 그의 5세손 운정(運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재영(李在永)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허전(許傳)·김도화(金道和)의 발문이 있다. 국립
구봉영당 / 九峰影堂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에 있는 조선후기 신숙주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신숙주(申叔舟)의 영당이다. 순종 때경기도 양주에서 이곳으로 옮겨 영당을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였으며, 고령신씨(高靈申氏) 종중의 소유로 해마다 봄·가을에 향사(享祀)하고 있다. 건물구조는 정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