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독립협회 / 獨立協會 [역사/근대사]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등이 1896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사회정치단체.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이다. 구한말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세력균형이 이루어졌던 시기에, 자주국권·자유민권·자강개혁의 사상을 가지고 독립협회가 추진한 민족주의·민주주의·근대화운동
독일 藥師 에커트 고빙계약서 [정치·법제]
대한제국 군부대시노가 독일인 악사 프란츠 에커트(Franz Eckert)사이에 체결한 고빙계약서. 대한 군부에서 에커트를 초빙하여 시위연대의 군악대에 소속된 한국 소년을 대상으로 악기를 교습시킨다는 내용의 계약서이다.
독일 파견 특명전권공사 閔哲勳 해임장 [정치·법제]
고종 황제가 특명전권공사로 독일 수도에 가 있던 민철훈의 해임을 독일 황제에게 알리기 위해 작성한 해임장. 1904년(광무 8) 2월 6일에 작성하였다.
독일 파견 특명전권공사 閔泳煥 신임장 [정치·법제]
고종이 민영환을 특명전권공사로 삼아 독일 및 프로이센 수도에 주차하게 해 양국 간 교섭에 관한 일을 주고나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독일 황제 겸 프로이센 군주에게 보내기 위해 작성한 신임장. 1897년(건양 2) 3월 22일에 작성하였다.
독일 파견 특명전권공사 閔泳翊 신임장 [정치·법제]
고종이 민영익을 특명전권공사로 삼아 독일 및 프로이센 수도에 주차하게 해 양국 간 교섭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독일 황제 겸 프로이센 군주에게 보내기 위해 작성한 신임장. 고종의 친필 서명과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라고 새긴 국새가 찍혀 있다. 189
독일 파견 특명전권공사 李範晉 신임장 [정치·법제]
고종 황제가 이범진을 특명전권공사로 삼아 독일 수도에 주차하게 해 양국 간 교섭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독일 황제에게 보내기 위해 작성한 신임장. 1904년(광무 8) 2월 6일에 작성하였다.
독판 / 督辦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통리기무아문의 관직. 1880년 12월에 만들어진 통리기무아문이 1882년 11월에 통리아문과 통리내무아문으로 분화되고, 12월에 다시 통리아문이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통리내무아문이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개칭되었는데, 이 두 아문의 우두머리를 말한다. 특히
돈녕원 / 敦寧院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왕의 친척이나 외척에 대한 보첩을 관장하던 관서. 1894년 종래의 돈녕부가 종정부에 병합되었다가 1895년 다시 귀족사로 분설되어 장사, 주사 등의 관원을 두었다. 다시 귀족원으로 개칭하여 경 1인과 주사 2인의 관원을 두었다. 1900년 돈녕원으로 개칭
돈치기 [생활/민속]
일정한 곳에 동전을 던져서 상대의 돈을 따먹는 청소년들의 놀이. 오늘날 성행되지는 않지만 아직도 제주도까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지방이나 경우에 따라서 약간의 변화들을 보이는 놀이이다. 여름보다는 주로 겨울철에 찬바람을 피하여 양지쪽에서 행해진다. 먼저 동전이
돌산군읍지 / 突山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돌산군(현 여수시 돌산읍)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순천부읍지(順天府邑誌)』·『신증승평지(新增昇平誌)』·『여수지(麗水誌)』 등에 돌산군에 관한 기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