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총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임정옥 / 林貞玉 [역사/근대사]
1914-1934. 일제 강점기 항일군. 출생지는 중국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이다. 남편은 사회주의운동가이자 혁명군 정치부주임을 지낸 이광림(李光林)이다. 1929년 부모를 따라 거주지를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릉현(穆陵縣) 신안촌(新安村)으로 옮겼다. 193
임정창 / 林貞彰 [역사/근대사]
미상-192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북도 벽동(碧潼)이다. 1910년(융희 4)을 전후하여 만주 지역에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등 독립운동기지가 활발하게 조직될 때 참여하여 중국 봉천성(奉天省) 관전현(寬甸縣)에서 활약하였다.
임종구 / 任鍾龜 [역사/근대사]
1885-미상.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청양 출신. 백남식(白南式)·윤태병(尹太炳)·윤상기(尹相起) 등이 1919년 8월경에 주도, 조직한 비밀결사인 대한건국단(大韓建國團)에 가입하여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한편, 상해임시정부의 지원을 목적한 군자금모금활동을 폈다. 이때 백
임진급병자록 / 壬辰及丙子錄 [문학/고전산문]
1928년 임진왜란의 기록인 「임진록」과 병자호란의 기록인 「병자록」을 합본한 역사서. 『난중시사총록(亂中時事總錄)』에는 전란 중의 원병관계, 왜병의 잔학상, 피난민의 참상 등 역사적 사실들을 적나라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전쟁이 끝난 뒤 일본과의 통화관계도 기록하고 있
임창무 / 林昌茂 [역사/근대사]
1893-194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충청북도 괴산읍(槐山邑) 증평면(曾坪面) 증평리(曾坪里) 925에 태어났다. 독립운동 당시의 주소지는 전라북도 김제군(金堤郡) 만경면(萬頃面) 만경리(萬頃里)이다. 1919년 그는 당시 만경공립보통학교의(萬頃公立普通學校) 훈
임충민공실기 / 林忠民公實紀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윤행임(尹行恁) 등수명찬, 최남선(崔南善) 편수, 신연활자본. 조선광문회(1913), 8권 1책. 정조(正祖)때 임경업(林慶業)의 행적에 관한 글을 엮은 것을 조선광문회에서 다시 간행한 책이다.
임치정 / 林蚩正 [역사/근대사]
미상-1932. 독립운동가. 호는 춘곡(春谷). 평안남도 용강 출신. 이조판서 국로(國老)의 아들이다. 1904년 미국에 건너가 안창호(安昌浩) 등과 함께 교포단체인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조직하여 간사로 활동하는 동시에 그 기관지인 《공립신보 共立新報》를 간행하였으며
임태일 / 任泰馹 [역사/근대사]
1899-미상.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전라남도 광양군(光陽郡) 진월면(津月面) 송금리(松琴里)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4월 15일 광양군 진월면(津月面) 송금리(松琴里)에서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서당 학생들과 같이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준비를 갖추었다. 이날
임평 / 林平 [역사/근대사]
1908-194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25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이후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현 고려대학교)에 입학하여 1929년까지 수학하였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항일독
임하유서 / 林下遺書 [문학/고전시가]
작자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분량은 2율각 1구로 159구이며, 율조는 4·4조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귀글체가 파괴되어 난삽하다. 1935년 10월시천교당(侍天敎堂)에서 발행하던 용천검사(社)의 잡지 『룡쳔검』 제29호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 경상북도 상주의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