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도원 / 道院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전도기구의 총칭. 의결기구인 의회, 행정기구인 교사와 더불어 3대 기구 중 하나이다. 대종교 규범 제4장에 의하면 삼일원과 그 밑에 수도원, 선도원, 자선원 등이 이에 속하여 있다. 도원의 궁극적인 목표는 <삼일신고>에 담긴 ‘한얼말씀’을 널리 펴서 모든 사람으
도은집 / 陶隱集 [종교·철학/유학]
도은 권호신의 문집. 목활자본. 발: 장건덕 장두연. 단책. 1921. 권두에는 권상익이 쓴 서문과 권행으로부터 35세손에 이르기까지의 세계도가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차운한 시의 원운을 비롯하여 3편의 시와 4편의 만사, 권2는 부록으로 먼저 단곡 곽진‧장암 김창조
도찰원 / 都察院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내외백관의 선악과 공과를 규찰하여 의정부에 알리고, 상벌을 공정하게 행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의정부 산하 관서. 1894년 6월 군국기무처에서 의정부 이하 각 아문에 대한 중앙관제개혁안을 제출하여 왕의 재가를 얻어 시행하였는데, 이 때 의정부 소속관청으로 설
도초도소작쟁의 / 都草島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5년 전라남도 무안군 도초면(현 신안군 도초면)에서 일어난 소작쟁의. 도초소작인회는 처음엔 지주들을 투쟁의 대상으로 삼았으나, 이 사건 이후 소작쟁의의 구체적인 투쟁대상이 일본 무장경관으로 변하였다. 무안군은 도초도 외에 암태도 등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쿄의정서 / 도쿄의정서 [역사/근대사]
1898년 4월 25일 도쿄에서 러시아와 일본이 체결한 한국문제에 관한 러일의정서. 1898년 4월 8일 일본 외무대신 니시 도쿠지로는 러시아정부에 협상 초안에 관한 일본정부의 입장을 제시, 양국은 한국의 주권과 독립을 인정하며 국내문제 간섭을 자제하고 러시아와 일본의
독노회 / 獨老會 [종교·철학/개신교]
장로교의 조직. 1907년 평양장로회 신학교 제1회 졸업생 7명이 목사안수를 받으면서 조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선교사 33명, 찬성회원 9명이 참여하여 독노회를 구성하였다. 이 독노회에서 최초의 한국인 장로교 목사가 7명 탄생하였다. 독노회는 한국장로교총
독립공채 / 獨立公債 [역사/근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을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고 조국 광복을 달성하기 위해 발행한 군자금 모집의 공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을 지속하기 위해, 1919년 11월 29일 '독립공채조례'를 비롯해 '공채표발행규정', '공채모집위원규정' 등을 아울러 제
독립관 / 獨立館 [역사/근대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안에 있는 독립협회가 사용했던 건물. 독립협회는 갑오경장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아 방치되어오던 모화관을 개수하여 독립관이라 부르고, 독립협회의 사무소 및 집회장소로 사용하기로 하여, 1897년 5월 개수를 끝내고, 5월 23일 왕태자의 한글로
독립문 / 獨立門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석조문. 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결의를 다짐하려고 중국사신을 영접하던 사대외교의 표상인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세운 문이다. 서재필이 조직한 독립협회의 주도하에 국왕의 동의를 얻고 뜻있는 애국지사와 국민들의 폭넓은 지지
독립선언서 / 獨立宣言書 [역사/근대사]
1919년 3월 1일 독립 만세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글. 독립선언서는 최남선과 한용운이 썼고, 천도교측 15인, 기독교측 16인, 불교측 2인 등 33인이 민족 대표로 서명하였다. 독립선언서 원고는 오세창을 통해 천도교에서 경영하는 보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