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총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이태조구산지설화 / 李太祖求山地說話 [문학/구비문학]
이한림전 / 李翰林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유일본으로 정묘년에 필사되었다. 이 작품은 다시 「환춘전」으로 내용이 이어진다.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하여 주인공과 그 일족이 왜적으로 인한 고난을 극복하는 내용을 그린 작품이다. 고전소설로서는 드물게 우리나라와 임진
이해룡전 / 李海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필사본·목판본·활자본. 20여종의 필사본과 2종의 목판본, 5종의 활자본이 있다. 활자본의 경우, 1926년 회동서관(滙東書館)에서 간행한 『육효자전(六孝子傳)』의 제2회에 실려 있는 것과, 1916년에 광동서국(光東書局)·
이형경전 / 李馨慶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본으로는 「이현경전(李賢卿傳)」·「이상서전(李尙書傳)」 등이 있고, 활자본으로는 「이학사전(李學士傳)」이 전한다. 여러 이본의 비교·검토를 통하여볼 때, 「이형경전」이라고 칭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889년 및 1905년에
이혜동진설화 / 二惠同塵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시대의 승려 혜숙(惠宿)과 혜공(惠空)에 관련된 불교설화. 『삼국유사』 권4 이혜동진조에 실려 있다. 안강현(安康縣) 혜숙사(惠宿寺)의 연기전설로, 혜숙은 살육을 싫어하여 불도를 닦아 여러 가지 이적(異蹟)을 남겼다. 혜공은 고용살이하는 노파의 아들(아명은 憂助)이
이홍전 / 李泓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한문 전(傳). 작자의 생애 후반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필사본으로 김려(金鑢)가 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 권12 「도화유수관소고(桃花流水館小稿)」에 실려 있다. 「이홍전」은 서울에 사는 사기꾼 이홍의 사기행각을 삽화식으로 구성
이화몽 / 梨花夢 [문학/고전산문]
지송욱(池松旭)이 지은 신소설. 국문필사본. 1914년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발행하였다. 이 작품은 줄거리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소설 「춘향전」과 아주 흡사하다. 인물설정에서 여주인공 이화가 퇴기인 점이나 이화의 시련이 사또 형의 수절을 거부한 데서 비롯되는 것, 원
이화전 / 李華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전반에서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후반에서는 중국을 배경으로 하였다는 점과 임진왜란 당시의 현실 세계를 소재로 하였다는 점이 특색이다. 그러나 작품내용이 시종일관 황당무계한 요귀의 퇴치로 사실성(寫
이화정서전 / 梨花征西傳 [문학/고전산문]
작가·연대 미상의 고전번역소설. 1책. 국문활자본. 90회로 이루어진 중국소설 「설정산정서(薛丁山征西)」의 제45회 ‘번리화등대배사 설정산봉지완혼(樊梨花登臺拜師 薛丁山奉旨完婚)’에서부터 제69회 ‘번왕납관조천자 반사득승회장안(番王納款朝天子 班師得勝回長安)’까지를 번역
인봉소 / 引鳳蕭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번역소설. 3권 3책. 필사본. 백인(字는 眉仙)은 눈 덮인 산 경치를 구경하다가 우연히 매화 숲 속에서 황소를 탄 노인[黃犢客]을 만나게 된다. 이 노인은 미선의 앞날을 예언한 몇 줄의 시구와 함께 들고 있던 산호 채찍을 주며, 명심해서 잘 간직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