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대한지지 / 大韓地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 중학교의 지리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지리교과서. 2권 2책. 인쇄본. 국한문 혼용체이며, 현채(玄采)가 역집(譯輯)하여 1899년에 초판이 발행되고 1906년 재판이 발행되었다. 권두에 이규환(李圭桓)의 서문과 권말에 현채의 발문이 있다. 발문에 의

  • 대한천일은행 / 大韓天一銀行 [경제·산업/경제]

    1899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근대적 금융기관의 선구가 되는 민족계 은행. 1876년(고종 13)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이래 일본 금융업계의 대한 진출이 뚜렷해지자, 우리나라의 지배층과 실업가들은 민족자본으로 은행을 설립하여 경제파탄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대한체육구락부 / 大韓體育俱樂部 [예술·체육/체육]

    1906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체육단체.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조직된 근대적인 체육 친목단체로서 1906년 3월 11일 서울 괴동(槐洞) 김기정(金基正)의 집에서 현양운(玄暘運)·신봉휴(申鳳休)·한상우(韓相宇) 등 30여 명의 발기로 결성되었다. 그 달 20일 사무소를

  • 대한테니스협회 / 大韓─協會 [예술·체육/체육]

    국내 테니스경기의 보급과 발전을 도모하고, 이를 관장하는 경기단체. 테니스는 1900년경 도입되어 극소수의 특정인들 사이에 행하여졌다. 1926년 당시 경성제국대학 정구(연식)부장이었던 강성태(姜聲邰)가 연식을 경식으로 전환하면서 테니스 발전의 기초가 마련되었다.그 뒤

  • 덕산현읍지 / 德山縣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덕산현(현 예산군 덕산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6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장서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연혁(沿革)·정도(程道)·도로(道路)·군명(郡名)·성씨(姓氏)·형승(形勝)·고적(古蹟)·사묘(祠廟)·역원(驛院)·성

  • 덕성광산 / 德城鑛山 [경제·산업/산업]

    함경남도 북청군 덕성면에 있는 철광산. 무산·이원·풍산·허천 등과 함께 북한의 동북철광구에 속한다. 풍산·허천과 같이 광복 후 개발된 철산이다. 주로 적철석을 생산하고 있으며 층후는 1.5∼6.2m, 평균너비는 3m 정도이며, 주향에 따라 8㎞의 연장을 보여주기도 하나

  • 덕수궁대한문 / 德壽宮大漢門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덕수궁의 정문. 덕수궁대한문은 경희궁흥화문처럼 단층이며 우진각지붕으로 된 궁궐의 정문이다. 1897년 고종이 명례궁을 옛 이름인 경운궁으로 다시 부르게 하고, 1902년 들어 궁궐을 크게 중건하였다. 얼마 뒤 인화문 자리에는 건극문을 세우고

  • 덕수궁양관 / 德壽宮洋館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조선 말기의 건물. 1897년-1900년 사이에 행해진 중건 과정에서 수옥헌, 정관헌, 구성헌 등이 지어졌고, 1900년에서 1910년에 걸쳐 석조전이 지어졌다. 현재 덕수궁 안에는 석조전과 정관헌이 남아 있고, 궁 밖 서쪽 미국영사

  • 덕수궁의중화전및중화문 / 德壽宮의中和殿및中和門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조선 말기의 전각 및 문. 보물 제819호. 중화전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다포계 팔작집. 중화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 팔작집. 중화전은 덕수궁의 정전으로 정령을 반포하고 조하를 받던 곳이며, 중화문은 궁궐의 중문이다

  • 덕수궁준명당 / 德壽宮浚明堂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조선 말기의 전각. 정면 6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건물. 고종이 러시아공관으로부터 경운궁으로 거처를 옮기기 위하여 많은 건물을 중건하였던 1897년에 새로 지었다. 내전의 하나로 외국사신을 접견하던 곳인데, 현재의 건물은 1904년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