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 이중국 / 李重國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창립총회발기인, 창립준비위원으로 활동한 체육인. 생몰년 미상. 보성중학교 1학년을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가쿠원중학(聖學院中學)을 졸업한 후, 게이오대학(慶應大學) 예과에 입학하였다.평소에 운동을 좋아하여 게이오대학 재학 시절인 1917년에는

  • 이중균 / 李中均 [종교·철학/유학]

    1861년(철종 12)∼1933년.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만창, 어머니는 구계조의 딸이다. 1883년(고종 20) 방경응제시에 합격하였다. 독학으로 30세에 성균관에 유학, 이남규·이병칠·오상필 등과 학문을 강론하였다. 1893년 성균관에 월과가 설치되었을

  • 이중섭 / 李仲燮 [예술·체육/회화]

    항일기의 서양화가(1916∼1956). 1937년 일본 문화학원 미술과에 유학하였다. 1940년 미술창작가협회전에 출품하여 협회상을 수상하였다. 1946년 원산사범학교 미술교사가 되었다가, 1950년 6·25동란을 맞아 원산을 탈출하여 부산·통영 등지를 전전하였다.

  • 이중철 / 李中轍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934년. 일제 강점기 의병·문인. 부친은 이만유, 모친은 김용락의 딸이다. 족부 이만각과 김흥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95년(고종 32)에는 안동 지역에서 봉기한 의병의 참모로 활약, 1902년(광무 6)에는 도신이 추천하여 혜능참봉,

  • 이중화 / 李重華 [언어/언어/문자]

    서울 출신. 국어학자. 영어과 졸업 후, 1904년 이 학교 교사를 지낸 뒤 배재학당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9년『조선어사전』(뒷날 한글학회의 큰사전) 편찬집행위원, 1936년 이 사전 전임 집필위원 및 조선어표준말사정위원을 지냈는데, 사전 집필에서 특히 옛 제도어,

  • 이춘근 / 李春根 [종교·철학/유학]

    1883(고종 20) - 1954. 이버지는 윤수, 어머니는 창원황씨이다. 부인은 박승구의 딸이다. 박우현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했고, 1907년(순종 1) 고암 김세락에게 3~4년간 집중적으로 사사하여 학문이 크게 발전하였고 유림사회에 많은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였다

  • 이충호 / 李忠鎬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51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이황의 종손, 부친은 이중경이다. 이만인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0년(광무 4) 장릉참봉을 지냈으며, 주자학과 퇴계학에 전념하였다. 해방 후에는 보문의숙을 세우고 가르침을 베풀었다.《주서절요》·《계몽전의》·《

  • 이한걸 / 李漢杰 [종교·철학/유학]

    1880년(고종 17)∼1951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부친은 이혁연, 동생은 이명걸이다. 이병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퇴계학·성리학·도학에 전념하였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 이후 일본의 모든 행위를 거부, 사립학교를 건립하고 구학문과 신학문을 병행하여

  • 이해조 / 李海朝 [문학]

    항일기의 신소설작가(1869∼1927). 어려서 한문 공부를 하여 진사 시험에도 합격했으나 신학문에 관심을 두어 고향인 포천에 청성제일학교를 설립하였다. 1906년 잡지 《소년한반도》에 소설〈잠상태〉를 연재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한때 《매일신보》등의

  • 이화몽 / 梨花夢 [문학/고전산문]

    지송욱(池松旭)이 지은 신소설. 국문필사본. 1914년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발행하였다. 이 작품은 줄거리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소설 「춘향전」과 아주 흡사하다. 인물설정에서 여주인공 이화가 퇴기인 점이나 이화의 시련이 사또 형의 수절을 거부한 데서 비롯되는 것, 원

페이지 / 21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