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총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이등상강록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 낙질본. 이 작품은 앞부분이 전하지 않아 전체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남아 있는 부분만으로도 여러 면에서 「구운몽」과 비교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유사점을 들어보면 불교적 색채가 짙다는 것, 한 남자와 여러 여자
이린전 / 李麟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활자본. 필사본. 1916년동창서옥(東昌書屋)에서 발행한 활자본이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 이린이 중국에 들어가 절세미인 두소저(杜小姐)를 얻고 과거에 급제하여 승상에까지 오른다는 내용이다. 이 소설은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에 들어가 입
이만경본풀이 / 李萬頃─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성주이씨(星州李氏)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 수호신은 만경령(萬頃令)벼슬을 지낸 조상이므로 이만경이라 일컫는 것이며, 벼슬을 지낸 조상의 내력담이므로 조상본풀이 중 홍부일월[紅牌日月]본풀이의 한가지가
이벽선생몽회록 [문학/고전산문]
1777년(정조 1)정약종(丁若鍾)이 지은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표제는 ‘새벽젼’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말미에는 “뎡유뎡아오스딩셔우등셔졍이라.”라고 기술되어 있다. ‘뎡아오스딩’은 정약종의 세례명이므로 정약종이 정유년에 기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
이별육가 / 李鼈六歌 [문학/고전시가]
15세기 후반에 이별(李鼈)이 지은 연시조. 6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인데 개별 단위의 작품에서는 3행(한역의 5·6구)에 화자의 선언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으며, 전체 작품은 개별 작품이 일관된 태도를 표명하면서 단위로서의 서정을 드러내는 연시조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특성
이봉빈전 / 李鳳彬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활자본. 이 작품은 여자가 남장을 하고 무예를 닦아 나라에 공을 세우고 부모의 원수를 갚는 내용이 담겨 있는 「정수정전」이나 「홍계월전」과 같은 유형의 작품으로, 이른바 여걸소설·영웅소설·군담소설·적강형소설에 해당한다. 봉빈이 동해용왕의
이사원네 맏딸애기 [문학/구비문학]
부녀자들이 주로 부르는 서사민요의 하나. ‘이생원’이 ‘이사원’으로 바뀌어 노래 제목이 ‘이사원네 맏딸애기’로 되었다. 남녀 간의 사랑을 아주 밀도 짙게 다루어 상당한 장편을 이루었다. 저주의 사설을 보면 “삽작거래 들거들랑 청삽사리 물어주고”, “방 안에야 들거들랑
이산구곡가 / 駬山九曲歌 [문학/고전시가]
1926년에 이도복(李道復)이 이산정사(駬山精舍)를 낙성한 후 마이산(馬耳山)을 둘러싼 구곡 팔경의 승경을 노래한 강호가사. 단연 형식의 가사를 서곡 1수와 본곡 9수 등 총 10수로 구성한 연장체 가사. 대부분 4음보격이지만 가끔 6음보의 변격도 보임. 1926년 후
이산해설화 / 李山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 이산해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 이산해의 아버지 이지번(李之蕃)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 그런데 이지번의 부인도 같은 날 남편과 동침하는 꿈
이상곡 / 履霜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가요. 14세기 충숙왕 때 채홍철(蔡洪哲)이 지은 노래라는 견해도 있다. 『대악후보 大樂後譜』에 음악이,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가사가 전한다. 전 39행으로 된 이 음악은 종지와 여음(17행, 28행과 29행, 34행, 38행과 39행)에 의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