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대한민간정부 / 大韓民間政府 [역사/근대사]

    1919년 3·1운동 직후 천도교에서 기호지역에 수립하려던 임시정부. 1919년 4월 1일 정부수립 계획이지만 실행되지 못하였다. 대통령 손병희, 부통령 오세창,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부장관 이동녕, 외무부장관 김윤식, 학무부장관 안창호, 재정부장관 권동진, 군무부장관

  • 대한민국임시의정원 / 大韓民國臨時議政院 [역사/근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기관. 1919년 4월 10일 1차 회의에서 조소앙의 동의에 임시의정원이라는 명칭이 결정되고 정식으로 개원되었다. 의장 이동녕, 부의장 손정도를 선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였다. 광복이후, 1년 내 국회를 소집하는 동시에 임시의정원은 해산 직

  • 대한민국임시정부 / 大韓民國臨時政府 [정치·법제/외교]

    1919년 중국 상해에서 한국독립운동자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 임시정부란 정식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정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국내외에서 3·1운동이 전민족운동으로 확산될 때, 독립정신을 집약하여 우리 민족이 주권국민이라는 뜻을 표현하고, 또 독립운동을 능률적으로 발전

  •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 / 大韓民國臨時政府憲法 [정치·법제/법제·행정]

    민족항일기에 중국 상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 임시정부는 대한국민의회, 상해임시정부, 한성정부 등으로 형성되었다. 이 세기구는 1919년 9월 11일 상해의 임시정부가 개헌형식(통합헌법, 제1차 개헌)으로 대한국민의회를 흡수 통일정부가 수립되었다. 그 뒤

  • 대한민보 / 大韓民報 [언론·출판/언론·방송]

    1909년에 대한협회가 창간한 일간신문. 대한협회는 1908년 4월에 창간한 월간 <대한협회회보>를 이듬해 3월까지 12호를 발행한 뒤 중단하고 일간으로 변경, 이 신문을 발간하였다. 처음 제호를 ‘대한공보(大韓公報)’로 할 계획이었으나 내부에 허가를 신청하면서 ‘대한

  • 대한불교미륵종 / 大韓佛敎彌勒宗 [종교·철학/불교]

    미륵세존의 종지를 갖는 불교 종단의 일종. 1942년 김계주(金桂朱)가 전남 광산에서 무교(戊敎)로 포교를 시작하여 1946년 무을교(戊乙敎)로 개칭하였다. 1959년 김홍현(金洪玄)이 교주로 추대되어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 미륵세존의 교리를 종지로 삼는다.

  • 대한불교용화종 / 大韓佛敎龍華宗 [종교·철학/불교]

    진공(眞空)이 만든 불교 종단의 일종. 1932년 진공(眞空)이 창립하였다. 인도의 무착(無着)과 중국의 현장(玄奬)을 종조로 삼고, 진표(眞表)를 중흥조로 삼는다. 1963년 12월 14일 대한불교용화종으로 불교단체등록을 하였다. 전라북도 전주시 원각사(圓覺寺)에 본

  • 대한불교조계종 / 大韓佛敎曹溪宗 [종교·철학/불교]

    불교 종단에서 가장 큰 종파. <금강경>과 전등법어(傳燈法語)를 근본경전으로 한다. 고려시대 지눌에 의해서 처음 창립되었다. 1938년에는 지금의 조계사 전신인 태고사(太古寺)를 총본산으로 창건되었다. 같은 해에 총독부가 정한 조선불교선교양종의 명칭을 버리고 전통적 한

  • 대한성공회 / 大韓聖公會 [종교·철학/개신교]

    영국 캔터베리 대주교를 정신적 지도자 내지 영적 대표자로 삼고 있는 교회. 대한성공회는 1889년 코프(Corfe) 신부가 초대 한국 주교로 서품되면서 시작되었다. 1896년 강화에서 한국인 성공회 신자가 생겨났다, 성공회가 한국에 진출하면서 시행한 것은 의료사업과 성

  • 대한신보 / 大韓新報 [언론·출판/출판]

    1898년 4월 10일 광무협회(光武協會)가 국문으로 발간한 기관지. 와다나베(渡邊常吉)가 주동이 되어 한일 기독교인을 규합, 미국계 선교 사업에 대항하여 일본 조합(組合) 교회의 진출과 그들의 세력 부식(扶植) 및 확대를 뒷받침할 목적으로 발행하였다.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