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총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을지문덕전 / 乙支文德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활자본. 이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고전소설의 형식을 빌려 서술한 것이다. 을지문덕 개인의 일대기라기보다 수나라와의 싸움에 관련된 사실의 기록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구려의 우수성을 역설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민족사에 대한
을해조행록 / 乙亥漕行錄 [문학/고전산문]
1875년(고종 12)에 조희백(趙熙百)이 지은 조운일기(漕運日記). 1책(23장). 한문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갑술(甲戌, 1874년) 12월 17일 지은이가 함열현감 겸 성당창조세영운관(咸悅縣監兼聖堂倉漕稅領運官)에 제수되어 이듬해 1월 27일 임지에
음양옥지환 / 陰陽玉指環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옥가락지를 매개로 하여 하늘이 정한 인연, 하늘이 정해 준 배필을 찾아 헤매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영웅의 일생 구조를 지니고 있는 영웅소설이며 군담소설이고, 여걸소설 혹은 여장군소설에 속하기도 한다. 한편, 적강화소를 지니고
의승기 / 義勝記 [문학/한문학]
1664년(현종 5) 임영(林泳)이 지은 한문소설. 심통성정(心統性情)을 의인화(擬人化)한 의인소설(擬人小說)로 천군소설(天君小說)의 일종이다. 작자의 문집인 『창계집 滄溪集』 권16에 실려 있다. 「의승기」는 임영이 이단상(李端相)의 문하에서 본격적으로 성리학을 배
의열비충효록 / 義烈妃忠孝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에서 저자는 비의 효행과 설승상의 충(忠)을 강조하여 두 주제를 하나의 구조 안에 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설중의 충심은 효과적으로 형상화되었다고 볼 수 없다. 간신인 적대자 최훈이 설정되어 이야기가 전
이견대가 / 利見臺歌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전하는 이야기와 평(評)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삼국속악(三國俗樂) 신라조에 전하고, 그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고려사』에 실린 제
이계룡전 / 李季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주인공 이계룡 부자의 지극한 효성과, 이계룡 모친의 시아버지에 대한 효성, 남편에 대한 정성을 표현한 윤리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후반에서는 주인공 이계룡이 산적을 토벌하고 위기에 놓여 있는 황제를 구
이공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주화관장신(呪花管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큰굿 때에 초공맞이 다음의 제차에서 구연되고, 불도맞이 때에도 불린다. 제주도 무속에서는 서천 서역 땅에 인간 생명의 근원이 되는 환생꽃, 재난과 멸망의 근원
이대봉전 / 李大鳳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목판본·활자본.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창작 군담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특히 정혼자인 애봉의 활동이 더욱 두드러진다. 애봉은 정식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고, 외적이 난을 일으켰을 때, 대원수로 출전하여
이두충렬록 / 李杜忠烈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상하 2책. 국문활자본. 1914년에 간행된 문익서관본(文益書館本)이 전한다. 남자주인공 이태원과 여자주인공 두성완의 고난과 충절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여성들의 활약상이 남성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돋보인다. 남자주인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