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전적 총 1,57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전적
신보휘어 / 新補彙語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김진이 편찬한 유서. 59권 13책. 목활자본. 저자가 1615년(광해군 7)에 환향한 뒤 10여 년 동안 편찬하여 인조 초에 완성하였다. 이 책은 중국의『옥해』등을 모방하여 엮은 것으로, 김류·한흥일·유경집이 조력, 심택·권우 등이 1653년(효종
신석박통사언해 / 新釋朴通事諺解 [언어/언어/문자]
『신석박통사』를 언해한 책. 『박통사신석언해』에 수록된 한어문(漢語文)은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에 수록된 한어문과 상당히 다르다.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의 한어문은 동일하다. 한어문의 각 한자 아래 한글로 붙여진 두가지 중국음 중 우측음, 즉 통칭 속음(
신오위장본 / 申五衛將本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판소리 사설 작가·이론가 및 연출가를 겸했던 신재효(申在孝)의 가집(歌集). 6책. 필사본. 이 책에는 신재효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 곧 동창춘향가(童唱春香歌)·여창춘향가(女唱春香歌)·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로 된 「춘향가」, 「심청가(沈淸歌)」·「적벽가(
신옹고 / 信翁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민창혁(閔昌爀)의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권두에 이계(李堦)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5에 시 471수, 권6에 소(疏) 15편, 치제문(致祭文) 8편, 고유문 26편, 축문 4편, 표(表) 4편, 권7에 교문(敎文) 5편, 제문
신자전 / 新字典 [언어/언어/문자]
1915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가 편찬한 한자 자전. 4권 1책. 유근(柳瑾)과 최남선(崔南善)의 서에 의하면, 유근의 주관하에 이인승(李寅承)·남기원(南基元)의 도움으로 편찬되었으며, 한자의 새김은 주시경(周時經)과 김두봉(金枓奉)이 정성스레 마음을 썼고, 인쇄상
신자하시집 / 申紫霞詩集 [문학/한문학]
1907년 김택영(金澤榮)이 편찬한 신위(申緯)의 시선집. 6권 2책. 신식활자본. 신위의 시 4,000여 수 가운데 900여 수를 뽑아 편찬한 것으로 중국 남통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택영의 서문과 중국인 장건(張謇)의 제사(題辭)가 있으며, 권말에 신위의 연보가
신전자초방언해 / 新傳煮硝方諺解 [언론·출판/출판]
《신전자초방》을 언해한 과학기술서. 조선 숙종 때 역관 김지남이 지은 과학기술서인《신전자초방》을 1698년(숙종 24)에 영중추부사 남구만의 건의로 간행하였다. 그러나 현존하지 않고, 1796년(정조 20)에 염초 만드는 방법을 쓴 중국 책을 한글로 해석하여 중간본으
신증유합 / 新增類合 [언론·출판/출판]
1576년(선조 9)에 유희춘이 ≪유합≫을 증보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한자 입문서. 2권 1책. 목활자본. ≪천자문≫·≪훈몽자회≫ 등과 함께 널리 이용된 한자 입문서. 1574년 황해도 해주에서 간행된 일이 있으나 잘못이 있어 수정하여 1576년 10월에 서문과 발문을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 / 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 [과학/동물]
1399년(정종 1)에 편찬된 수의학서(獸醫學書). 1책. 목판본. 편자는 권중화(權仲和)·한상경(韓尙敬)·조준(趙浚)·김사형(金士衡)·방사량(房士良) 등이다. 이 책은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과 함께 간행된 것이다. 1399년 강원도에서 초간된 뒤 전주·의주
실사총담 [문학/구비문학]
최영년(崔永年)이 편찬한 설화집. 2권 1책. 수록된 이야기의 편 수는 상권 99편, 하권 166편으로 모두 265편이나, 이 중에는 설화라 할 수 없는 시화나 풍속·제도에 관한 설명이 10여 편 포함되어 있다. 매 편마다 칠언으로 된 한문 제목에 이어 본문은 한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