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교양관 / 敎養官 [교육/교육]
조선 후기 향교교육이 유명무실해지고 교수·훈도 등의 교관이 폐지된 뒤 지방의 유학교육 진흥을 위해 비정규적으로 설치되었던 교관직. 1629년(인조 7)부터 논의가 시작되어 1649년까지 각 도에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보통 도사가 겸직, 또는 도내의 유능한 문관 가운데
교어부 / 交魚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도성문을 열거나 닫을 때 사용하던 부험. 1443년(세종 25) 6월 병조의 건의로 당나라의 부험제를 모방하여 처음으로 제작, 사용하였다. 뒤에는 보통 개문좌부(開門左符), 폐문좌부라 하였다.
교열 / 敎閱 [정치·법제/법제·행정]
역대 왕조에서 행해진 열병의식 및 군사 훈련 검열 제도. 넓은 의미로는 진법·무예 훈련, 군사 동원 점검, 병기·군마 점검, 강무의식(사냥대회)·열병의식 등 전반적인 군사 훈련 검열을 뜻한다.
교요서론 / 敎要序論 [종교·철학/천주교]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 페르비스트가 주요 교리와 십계에 관해 설명한 교리서. 천주교교리서. 이 책의 본문은 모두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첫째 부분에서는 천주의 속성, 천지 창조, 영혼 불멸, 천당 지옥 등 주요 교리를 13항목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교우론 / 交友論 [종교·철학/천주교]
조선시대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 리치가 교우 관계에 대해 서술한 교리서.천주교교리서. 리치는 1595년 봄에 남포(南浦)에서 건안왕(建安王)을 만났는데, 이때 서양의 우정에 대해 질문을 받자 이를 계기로 평소에 들었던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 등의 우정론을 바탕
교우문집 / 膠宇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윤주하의 시·서(書)·혼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윤주하의 동생 윤평하(尹坪夏)와 문인 이승래(李承來)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차례 다음에 윤평하의 발문이 있다. 본집 20권 10책, 목록 1책, 합 20권 11책. 목판본. 연세
교은문집 / 郊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정이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39년에 후손 재호(在昊)가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2에 시 73수, 전(箋) 2편, 소 1편, 서(序) 4편, 기 14편, 전(傳) 1편,
교의 / 交椅 [정치·법제]
왕실 의례 시 휴대와 이동이 편하게 고안된 접이식 의자. 궁중 의례가 있을때나 사신과 관련한 접대가 있을 때 사용했다. 교의의 원류는 중국의 호상으로 중국에 기원을 두었다. 왕과 왕비가 쓰던 것은 용교의, 세자가 사용하던 것은 평교의라 하였으며 재료에 따라서도 금교의
교재문집 / 僑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만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5년 이만상의 조카 이당희(李堂熙)·이면희(李綿熙)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장승택(張升澤)·이이건(李以鍵)의 서문, 족손 이기형(李基馨)과 조카 이면희 등의 발문이 있다. 6권 2책. 목활자본
교정시집 / 皎亭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현일의 만관수초·추사잡영·기북유초 등 350여 수를 수록하여 1906년에 간행한 시집. 5권 2책. 목활자본. 1906년 그의 손자 은(隱)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강위(姜瑋)와 홍현보(洪顯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은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