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대중음악 / 大衆音樂 [예술·체육/대중음악]

    널리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음악. 순수음악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대중의 흥미나 이해력에 중점을 둔 통속적인 음악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대중음악이 등장한 것은 1901년 창설된 최초의 서양식 군악대를 시발로 하였다.

  • 대학장구상설 / 大學章句詳說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문호가 『대학』을 해석하여 1921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1책. 목활자본. 1921년 보은 풍림정사(楓林精舍)에서 박봉수(朴鳳秀)에 의해 간행되었다. 『논어』·『맹자』·『중용』·『시경』·『서경』·『주역』을 한데 묶은 『

  • 대한강역고 / 大韓疆域考 [지리/인문지리]

    1903년 언론인 장지연이 정약용의 『아방강역고』를 현대식으로 증보한 지리서. 9권 2책. 신식활자본.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를 현대식으로 증보하였으며, 체재는 강(綱)과 목(目)을 구분하고 목에는 여러 서적에서 강에 관계되는 사항을 뽑

  • 대한계년사 / 大韓季年史 [역사/근대사]

    조선말기 문신 정교가 편년체로 저술한 역사서. 수필본. 1864년(고종 1)부터 1910년 국권상실 때까지 47년간에 걸친 고종 이후의 한말시대사로서 9권으로 되어 있으며, 양면 모두 12행씩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직접 경험한 것을 서술한 것으로 한국 최근

  • 대한국국제 / 大韓國國制 [역사/근대사]

    1899년 8월 17일 대한제국이 공포한 국제. 1896년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등이 중심이 되어 자주독립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자, 이에 정부에서는 1897년 연호를 ‘광무’로 정하고, 같은 해 10월 국명을 ‘대한제국’으로 고쳐 내외에 자주국가임을 선포하였다. ‘헌법

  • 대한국기념장증서 / 大韓國紀念章證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원년) 8월 27일 순종황제의 즉위예식을 기념하여 표훈원에서 순종황제의 조칙을 받아 궁내부대신 관방사무촉탁 이노우에 마사지(井上雅二)에게 수여한 증서, 1907년 헤이그 특사사건을 계기로 일제의 강압에 의해 고종이 물러나고 순종이 즉위하였다. 이 사건으

  • 대한국민체육회 / 大韓國民體育會 [예술·체육/체육]

    1907년 10월에 노백린(盧伯麟)의 발기로 조직된 우리나라 최초의 체육단체. 결성일자가 불분명한 것으로 미루어 별다른 진전 없이 한말의 운명과 함께 없어진 단체인 듯하다.1907년 10월 15일자로 발표된 취지서에 따르면, “무릇(夫) 체육은 덕(德)·지(智), 이교

  • 대한럭비풋볼협회 / 大韓─協會 [예술·체육/체육]

    럭비풋볼경기의 보급과 발전을 위한 사업을 관장하는 스포츠 단체. 1920년대 도입된 럭비풋볼경기는 1929년 3월 조선럭비축구협회가 창설되어 활약하여 오다 광복 후 1946년 3월 조선럭비축구협회로 다시 창설되었다. 1953년 대한체육회에 가맹하였으며 1968년 12월

  • 대한문법 / 大韓文法 [언어/언어/문자]

    1909년 간행된 김규식(金奎植)의 국어문법서.1권 8절지 양절, 113장. 동장(東裝) 유인본(油印本). 이 책의 내용은 권두에서 국어를 우랄알타이어로 규정하고, 전체를 3편으로 나누어 제1편은 자체(字體)·성(聲)·음(音)·운(韻), 제2편은 사자학(詞字學), 제

  • 대한문전 / 大韓文典 [언어/언어/문자]

    유길준(兪吉濬)이 지은 국어문법서. 1권. A5판, 활자본. 저자 유길준은 11년간(1896∼1907) 일본에 망명하여 있었고, 그 사이에 국어문전을 집필하여 ≪조선문전≫의 여러 필사본과 유인본을 남겼으므로, 당시 나돌던 문전의 이본이 몇 가지에 이른다. 내용으로 보아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