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박필주 / 朴弼周 [종교·철학/유학]

    1665(현종 6)∼1748(영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군수 태두 아들이다. 1717년(숙종 43) 재상 송상기 추천으로 시강원자의가 된 뒤 지평·집의 등을 거쳐 세자찬선·이조판서·우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여호집』·『독서수차』·『주자왕복휘편』·『춘

  • 박헌영 / 朴憲永 [정치·법제/정치]

    1900년∼1955년. 공산주의 운동가. 충남 예산 사람. 1919년 경성고보를 졸업하고 3.1운동 후 상해로 건너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에 입당했다. 192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자대회에 참석한 후, 김단야, 임원근과 함께 국내침투를 시도하다 신의주에서

  • 박형룡 / 朴亨龍 [종교·철학/개신교]

    1897-1978년. 장로교의 대표적인 보수주의 신학자이며 목사. 평안북도 벽동에서 출생. 평양 산정현교회 전도사로 시작하여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31년 평양신학교 교수로 취임, 1933년 루이스빌의 신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신학난제선평>과 <교의신학

  • 박호 / 朴箎 [종교·철학/유학]

    1567(선조 즉위년)∼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덕로 증손, 할아버지는 율, 아버지는 천서, 어머니는 김흥의의 딸이다. 1584년(선조 17) 18세로 친시문과에 장원하여, 홍문관수찬이 되고, 1592년 임진왜란 때 26세로 순변사 이일의 종사관이 되

  • 박회수 / 朴晦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6∼1861). 할아버지는 인원, 아버지는 종우이다. 어머니는 통덕랑 신명성의 딸이다. 1851년(철종 2)에는 실록청총재관을 맡았으며, 1855년 임금이 파주에 갈 때 병을 핑계로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다가, 다시 우의정을 거쳐 1859년 좌

  • 박훈 / 朴薰 [종교·철학/유학]

    1484(성종 15)∼1540(중종 35). 조선 중기의 문신. 중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증영이다. 어머니는 현감 박영달의 딸이다. 1504년(연산군 10)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06년 천거로 의영고주부를 거쳐, 보은현감, 사헌부장령, 사헌부지평, 동부

  • 박흥생 / 朴興生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할아버지는 시용, 아버지는 천귀, 어머니는 목신우의 딸이다. 1390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문과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리하여 김훈·서호, 사촌동생 연 등과 김자수의 문하에서

  • 박희도 / 朴熙道 [교육]

    1889년(고종 26)∼1951년.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해주 의창학교 보통과와 고등과 졸업, 1904년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협성신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중퇴하고 중앙유치원과 영신학교를 설립하여 교감이 되었다. 1916년 6월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지금의

  • 박희립 / 朴希立 [종교·철학/유학]

    1523년(중종 18)~미상.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박신동, 조부는 박중검이다. 부친 통훈대부 행 돈령부부정 박세영과 모친 김한우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박대립‧박사립이다. 부인은 민세룡의 딸이다. 1558년(명종 13) 식년시 문과에서 병과 3위로 급제하였

  • 방순경 / 方順京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문교부 실과교수요목위원, 무학여자중, 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서울 출생. 가톨릭을 신봉하는 가정에서 자라 한성여자고등학교(현재의 경기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일본 동경여자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뒤 교육계에 재직하다가 우리나라의 여성교육, 특히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