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총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유한라산기 / 遊漢拏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최익현(崔益鉉)이 지은 한라산 기행문. 작자가 1875년(고종 12년) 3월에 한라산을 등정하고 한문으로 쓴 단형의 유산기(遊山記)이다. 작자의 문집인 『면암집 勉菴集』에 수록되어 있다. 최익현은 「유한라산기」에서 백록담 주변을 “주위가 1리를 넘고 수면이
유화기몽 / 柳花奇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활자본. 목판본·필사본은 발견되지 않고 1918년에 보급서관(普及書館)에서 발행한 활자본만 전한다. 영웅소설의 일종으로, 주인공의 출생과정이 특이한 10회 장회소설(章回小說)이다. 이 작품은 1회부터 5회까지는 주인공의 비정상적인 탄생과
유효공선행록 / 柳孝公善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2권 12책. 국문 필사본. ‘유공선행록(柳公善行錄)’·‘유효공전(柳孝公傳)’·‘유효공현행록’ 등 30여 종의 이본이 있다. 작품 내용은 이본 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현재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2권의 「유효공선행록」을 선본
유희현전 / 柳希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정을선전」과 작품 서사구조에 있어서 거의 같다. 다만 등장인물에서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을선전」의 한 이본 계열로 보아도 큰 무리가 없다. 이 작품은 중국을 배경으로 한 영웅소설과 가정소설의 복합형 소설이
육갑시왕원불가 / 六甲十王願佛歌 [문학/고전시가]
1960년대 무형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채록된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390구. 범패 분야 인간문화재인 이경협(李璟協, 1901~?)이 구술한 작품이다. 생전에 지은 죄를 참회하고 선심으로 공덕을 쌓고 염불로 극락왕생하자는 내용의 불교가사이다.
육도가라 / 六度歌─ [문학/고전시가]
근대기에 시당산인이 지은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460구. 필사본 『육도가라』(연대미상,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에 순 한글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상 서사─본사─결사로 나누어진다. 작품의 끝에 “시당산인은 자슐자필하여 유젼만셰 ᄒᆞ나니라
육신전 / 六臣傳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남효온(南孝溫)이 지은 사육신의 전기. 작자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권8과 조기영(趙基永)의 『생육신문집(生六臣文集)』 권7에 수록되어 있다. 『추강선생문집』에는 「육신전」 외에도 계유정란 때 세조를 따르지 않았던 허후(許詡)의 전(傳)도 남기고
육영 / 六咏 [문학/고전시가]
권섭(權燮)이 지은 시조. 작자가 지은 시조 75수 중 일부이며, 권섭의 친필유고인 필사본 『옥소고(玉所稿)』에 여타 작품들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제악숙(祭樂肅)·군악정(軍樂整)·선악정(禪樂定)·여악탕(女樂蕩)·용악처(傭樂悽)·무악요(巫樂搖) 등 여섯 편의 시
육현가 / 六賢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육현가」는 도학 형성에 크게
육효자전 / 六孝子傳 [문학/고전산문]
박건회(朴健會)가 편술한 고전소설집. 회동서관(滙東書館)에서 간행하였다. 초두에 ‘박건희 편술’이라 밝혔으며, 전래의 6편 효행담을 엮은 일종의 단편소설집이다. 장회(章回) 소설처럼 횟수로 하여 6편을 엮고 있다. 제1회는 김효증(金孝曾)의 효행담이다. 제2회는 이해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