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근사재일고 / 近思齋逸稿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귀화 문인 설손(偰遜, ?∼1360)의 시문집. 원래 설손이 연경(燕京)에 있을 때 지은 초고(草藁) 7책 13권이 있었으나 중국에서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잃어버리고, 고려로 귀화한 후 기억에 남은 시문 700여 수(首)를 기록하여 『근사재일고(近思齋逸

  • 근세조선정감 / 近世朝鮮政鑑 [역사/근대사]

    조선후기 학자 박제경이 흥선대원군 집정 전후에 관하여 서술한 역사서. 야사집. 원래 상·하권으로 쓰여졌으나 하권은 출판되지 않았고, 상권만이 1886년 일본 동경의 중앙당(中央堂)에서 발간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필자가 갑신정변 당시 피살된 개화파 요인이라는 사실

  • 근세한국산업사연구 / 近世韓國産業史硏究 [경제·산업/산업]

    고승제(高承濟)가 지은 우리나라 산업사에 관한 연구서. A5판. 350쪽. 1959년 대동문화사(大東文化社)에서 간행하였다. 제1편 면업사의 연구에서는 면업의 성립과정, 의료산업(衣料産業)의 재편성과정, 북방면업의 진전과정, 대외무역의 전개와 징포책의 강행, 군사정책

  • 근시재문집 / 近始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08년(숙종 34) 그의 증손 석윤(錫胤)이 편집하고, 1783년(정조 7)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덕린(趙德隣)의 서문과 권말에 정범조(丁範祖)·이보(李簠)의 발문이 있다.

  • 근암문집 / 近菴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치덕의 시· 서(書)·잡저·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발간연도는 미상이며, 유치덕의 아들 유진호(柳震鎬)와 유관호(柳觀鎬) 등에 의하여 편집·간행되었다. 6권 3책. 목판본. 서문은 없고, 권말에 신익호(申翼浩)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40수, 서(

  • 근암집 / 謹庵集 [종교·철학/유학]

    강엄의 문집. 목활자본, 4권 2책. 후손 주일재와 추수공이 주도하여 류주목의 교감을 받고, 종중과 사림에서 보조하여 증손 강준연이 1900년경에 간행하였다. 문집의 권두에 서는 없고, 권말에 강준연의 발문이 붙어 있다. 문집은 권1에 시 159제 184수가 실려 있

  • 근역서화징 / 槿域書畵徵 [예술·체육/서예]

    1917년 오세창이 우리나라 역대 서화가의 사적과 평전을 수록한 사전.사서삼경주해본. A5판. 324면. 1917년 오세창(吳世昌)이 편집하여, 1928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에서 출판하였다. 기록에 나타난 역대 서화가를 신라, 고려, 조선의 상·중·하 5편으로 나누

  • 근역서휘 / 槿域書彙 [예술·체육/서예]

    1911년 서예가 오세창이 고려말에서 대한제국말까지 선인들의 필적을 모아 엮은 서첩. 5책. 첩장본(帖裝本).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수록된 필적은 거의 600여년에 걸치는 것으로, 신분상으로 볼 때는 국왕의 어필을 비롯하여 각계 유명인사들의 서간·시축(詩軸)·문고(文

  • 근역인수 / 槿域印藪 [예술·체육/서예]

    서예가 오세창이 조선전기부터 광복 이전까지 서화가와 학자들의 인장을 모아 엮은 인보(印譜). 오세창 자신의 것 225개를 포함하여 총 850명 3,912과(顆)의 인장이 실려 있다. 인장의 종류는 성명·호·자 및 장서인(藏書印)·사장인(詞章印) 등 다양하다.전각(篆刻)

  • 근와문집 / 謹窩文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8.7×18.7cm이고, 반곽은 19.1×14.3cm이다. 표제는 근와집(謹窩集)이고, 판심제는 근와문집(謹窩文集)이다. 구연간(具然侃)이 저술하였고, 권수는 2권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