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여음 / 餘音 [문학/고전시가]
구비문학 특히 구창문학(口唱文學)인 시가 등에서 연단위(聯單位, a stanza)에 본 가사의 앞·뒤·가운데에서 의미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를 일으키는 어절이나 구절. 이 말은 원래 국악과 속요에서 창곡(唱曲)과 관련되어 나온 말이다. 그러나 고전시가와 민요의 문체론에서
역근전 / 役根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군포를 공동으로 납부하기 위하여 마련하였던 마을 공유의 전답. 주민들이 각 마을단위로 부과된 군포를 납부하기 위하여 자구책으로 강구한 것이 군포계와 역근전 등이었다. 그 대가로 토지를 기증받거나 이사호·유망호의 전답을 마을 공유로 하거나 또는 동민들이 공동으
역도 / 力道 [예술·체육/체육]
체급 별로 바벨을 머리 위로 들어올려 그 중량을 겨루는 경기. 경기는 몸무게에 따라 10체급으로 나누어지며 같은 체급끼리 승패를 겨룬다. 소련·동유럽을 중심으로 구미에서 성행되는 경기로, 체력육성, 특히 근력양성에 좋은 종목이다. 1896년 아테네에서 개최된 제1회 올
역설법 / 逆說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표면적으로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수사법이다. 역설법은 앞의 두 예나 “두 볼에 흐르는 빛이/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아아, 님은 떠났습니다만,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역어 / 譯語 [언어/언어·문자]
갑국의 언어문자를 을국의 언어문자로 번역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 역과초시(譯科初試)·복시에 한학(漢學)·몽학(蒙學)·왜학(倭學)·여진학(女眞學)은 모두『경국대전』을 번역하게 하였다.
역학 / 譯學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에 외국어의 학습·교육·연구·통역 등을 부르던 명칭. 조선시대의 역학자는 역과 출신 또는 취재와 같은 특별 등용으로 역학에 종사하게 된 부류와 한학강이관 또는 습독관이나 승문원의 한학질정관 출신이 있었는데, 역관들은 사역원의 관리, 지방 역학의 훈도 등으로 활
연고주의 / 緣故主義 [사회/사회구조]
혈연(血緣), 지연(地緣), 학연(學緣)이라는 전통적 사회관계의 복합적인 그물망을 의미. 연고주의를 설명할 때, 연결주의와 연줄주의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둘 모두 영어로는 네트워크(network)이지만, 후자는 지연이나, 혈연, 학연처럼 특수주의적이고 폐쇄적인 관
연구개음 / 軟口蓋音 [언어/언어/문자]
연구개를 조음점(調音點)으로 하여 발음되는 자음. 조선시대에는 중국음운학(中國音韻學)에 따라 『훈민정음』 이후로 아음(牙音) 즉 ‘엄쏘리(어금닛소리)’라 하여 ‘ㄱ, ㄲ, ㅋ, ’을 아음으로 분류하였다. 『훈민정음』에서 “아음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을 취한다(
연극학 / 演劇學 [예술·체육/연극]
연극에 관련된 여러 요소·행위·현상을 학문적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우리 나라 연극에 관한 통사적 연구는 1939년에 발간된 김재철의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가 그 효시이다. 관련 학회로서는 한국연극학회 등이 있으며, 대학의 일부 어문학과(특히 국문학과) 및 연극학
연단술 / 燃丹術 [종교·철학/도교]
불로장생의 약인 단을 만드는 기술. 연단술은 쉽게 구할 수 있는 금속을 이용해서 불로장생의 약을 구하려는 기술이다. 연단술은 중국에서 발달하였다. 연단술은 내단과 외단으로 나누인다. 진나라 갈홍의 <포박자>가 외단법의 고전이다. 위백양의 <주역참동계>가 내단법의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