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대러차관교섭 [정치·법제/외교]
1896년 한국정부가 대일차관 변제를 위해 러시아 정부에 요청한 차관. 아관파천 직후 정권을 장악한 새 내각은 갑오개혁시 도입한 일본 차관 3백만 엔을 조기에 상환하려고 하였다. 자체 기금이 없던 조선은 러시아 정부에 요청하였다. 1896년 5월 26일에 개최된 니꼴라
대례기념장지증 대훈위이왕 / 大禮記念章之證 大勳位李王 [정치·법제]
1914년 11월 10일 일본정부가 순종에게 대례기념장(大禮記念章)을 수여하는 증서.
대례기념장지증 훈일등이왕비윤씨 / 大禮記念章之證 勳一等李王妃尹氏 [정치·법제]
1914년 11월 10일 일본정부가 순종의 비인 순정효황후 윤씨에게 일본의 훈장인 대례기념장(大禮記念章)을 수여하는 증서.
대반열반경소 / 大般涅槃經疏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법현(法賢) 술, 의천(義天) 교, 영인본, 조선총독부, 1924, 2권 1책(권9-10). 석사가 설법한 교의를 담은《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주석한 책이다. 순천송광사장본(順天松廣寺藏本)을 조선총독부에서 영인한 책이다.
대불차관교섭 [정치·법제/외교]
1889년 조선정부가 부채상환과 재정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프랑스에 요청한 차관. 조선정부는 1889년 5월 청국, 일본, 영국 등에서 들여온 부채상환과 국내외 재정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프랑스정부에 약 800만 프랑의 차관을 요청하였다. 1901년 프랑스와 차관계약을
대빈묘고유제홀기 / 大嬪墓告由祭笏記 [정치·법제]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의 묘인 대빈묘에서 고유제를 설행할 때 사용된 홀기.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하였다.
대빈묘청명제홀기 / 大嬪墓淸明祭笏記 [정치·법제]
대빈묘에서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는 24절기 중 하나인 청명일에 지내는 청명제를 실행할 때 낭독하기 위한 홀기.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하였다.
대순전경 / 大巡典經 [종교·철학/신종교]
1929년 이상호와 이정립이 증산교 창시자 강일순의 행적과 가르침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증산교경전. 1929년 이상호(李祥昊)·정립(正立) 형제가 증산교의 창시자 강일순(姜一淳)의 행적과 가르침을 수집, 정리하여 편찬하였다. 이들 형제는 보천교(普天敎)의 간부로 있
대신 / 大臣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의 궁내부, 의정부, 군국기무처, 내각과 내무아문 등 8아문, 내부 등 7부의 장관. 1894년 갑오경장 때 궁내부에 대신 1인, 의정부에 총리대신 1인, 군국기무처에 총재 1인을 두어 총리대신이 겸하였다. 1896년 내각을 다시 의정부로 환원하여 의정 1인을
대신관방 / 大臣官房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총무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던 관서.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으로 설치된 8아문에 소속되어 있던 총무국을 이듬해 을미개혁 때 개칭한 것이다. 각 부에 소속되어 기밀에 관한 사항, 관리의 진퇴와 신분에 관한 사항, 대신의 관인과 부인의 간수에 관한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