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 이기윤 / 李基允 [종교·철학/유학]

    1891년(고종 28)∼1971년.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서예가. 부친은 이익희이다. 장석영 문하에서 수학, 16세에 성균관 박사가 되어 경사와 제자백가서를 탐독하였다. 또 서법에도 조예가 깊어 명성이 있었는데, 청천서당·회연서당의 편액을 직접 썼으며, 당호·누정·

  • 이기풍 / 李基豊 [종교·철학/개신교]

    1865-1942년. 장로교 목사·순교자. 평양 출생. 1883년까지 한학을 수학, 1907년 평양장로회신학교를 제1회로 졸업한 7명 중 한 사람으로, 한국인 최초로 목사 안수를 받고 곧 독로회(獨老會)의 파송으로 외지선교사로서 제주도에 파송되었다. 1918년 광주의

  • 이농 / 離農 [사회/사회구조]

    농가인구가 농촌으로부터 유출되는 현상. 좁은 의미에서 ‘농가인구로부터의 이탈’로 정의되기도 하고, 넓은 의미에서 ‘농가, 농촌, 농업으로부터의 이탈’로 파악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이농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였고, 농민들은 국경을 넘어 만주나

  • 이능화 / 李能和 [종교·철학]

    항일기의 학자(1869-1943). 1910년 후 《조선사》 편찬에 참여했고, 불교잡지를 발간하여 불교포교와 민족문화수호운동을 수행했으며, 청구학회의 평의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한국불교에 관한 일체 사료를 망라하여 《조선불교통사》를 출판했고,《조선도교사》·《조선기독

  • 이덕주 / 李德柱 [역사/근대사]

    1908-1935년. 독립운동가. 황해도 신천 출신. 1926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김구(金九)와 조국독립을 위한 독립운동에 몸바칠 것을 서약하고 항일운동에 주력하였다. 1932년초 상해한인청년당원으로 김구로부터 유진만(兪鎭萬)·금긍호(琴兢鎬) 등과 함께 조선총독을 살해

  • 이도구 / 二道溝 [지리/인문지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현에 위치한 항일투쟁지. 이도구(二道溝)는 1910∼20년대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의 방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하는 이도구사건(二道溝事件)이 발생한 지역이다. 또한 한국 독립운동사의 금자탑과 같은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이 전개된 역사

  • 이도백하 / 二道白河 [지리/자연지리]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를 흐르는 하천. 이도백하가 흐르는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은 백두산 관광의 출발지이자 경유지로서 관광기지 역할을 한다. 안도현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백두산 북파 방면 해발 500m 지점에 자리 잡은 작은 도시이다. 2010년 이

  • 이돈화 / 李敦化 [종교·철학/천도교]

    항일기의 천도교인·사상가(1884-?). 호는 야뢰(夜雷)·백두산인(白頭山人)·저암(猪岩)·두암(豆菴). 동학 입도 후 천도교월보사에 근무, 천도교청년회를 조직했다. <개벽>창간 후 주간으로서 폐간 때까지 천도교교리를 통한 민족자주사상 고취에 힘썼다. 6·25 때 납

  • 이동녕 / 李東寧 [역사/근대사]

    1869년(고종 6)∼1940년.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대통령대리‧주석‧국무위원장‧국무위원. 자는 봉소(鳳所), 호는 석오(石吾)‧암산(巖山), 본관은 연안(延安), 충청남도 천원(지금의 천안) 출신이다. 1892년 응제진사시(應製進士試)에

  • 이동휘 / 李東輝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72∼1935). 구한국 무관학교 출신. 안창호와 함께 신민회, 서북학우회 등 활동. 군대해산령 후 육군참령으로서 의병을 도모하다 유배되었다. 1919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 때 공산당으로 전향하여 소련에서 원조 받은 독립자금을 고려공

페이지 / 21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