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내포평야 / 內浦平野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북서부 삽교천 유역에 발달한 평야. 내포평야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 넓게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예당평야라고 불린다. 『택리지(擇里志)』에 내포(內浦)는 가야산 둘레의 십현(十縣)을 가리킬 정도로 넓은 지역을 포함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무한천·곡교천 등이

  • 넙도 / ─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 내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758명(남 397명, 여 36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520세대이다. 취락의 분포는 섬 동쪽 해안의 내리마을과 남쪽의 방축리마을에 집중되어 있다. 산지가 많아 임야면적이 2.56㎢로 전체면

  • 노고단 / 老姑壇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토지면에 걸쳐 있는 산 봉우리. 지리산 등산로 중 노고단은 심원계곡과 화엄사계곡을 통한 서쪽 입구가 되며, 노고단산장은 등산객의 휴식처 및 숙박 장소가 된다. 서남향의 안부에 위치하는 노고단 제1·2산장 주변은 약 4천여 평에 이르는 거의 평지

  • 노동동굴 / 蘆洞洞屈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노동리에 있는 석회동굴. 이 동굴은 지하수의 침투로 이루어진 공동(空洞)이 확장되면서 천장이 낙반(落盤)주 01)하여 커다란 광장을 이루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손꼽는 대형 수직동굴 가운데 하나이다. 수직벽 바닥에는 화석화되어가는 뼈무덤·뼈무리,

  • 노력도 / 老力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에 속하는 섬. 덕도(德島) 남쪽 0.6㎞ 지점에 있으며, 진목리 해안에서 약 1.4㎞ 떨어져 있다. 동경 126°55′, 북위 34°25′에 위치한다. 면적은 0.84㎢, 해안선 길이는 7㎞이다. 과거에는 정기여객선이 운항되지 않고 개인 배를 이

  • 노령 / 蘆嶺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276m. 지명의 기원은, 전설에 의하면 기생 노아(蘆兒)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옛날부터 노령산맥을 가로질러 호남평야와 전남평야를 잇는 주요교통로 구실을 하였다. 현재는 호남선철도와 호남고속도로

  • 노령산맥 / 蘆嶺山脈 [지리/자연지리]

    소백산맥(小白山脈)의 추풍령(秋風嶺) 부근에서 갈라져 남서방향 뻗은 산맥. 길이 약 200㎞의 구릉성 산지이다. 산맥 내에는 대둔산도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무주구천동계곡, 내장산국립공원, 모악산과 마이산도립공원 등 천혜의 자연경관과 모악산의 금산사(金山寺)·내장사·백

  • 노적봉 / 露積峰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咸鏡北道) 명천군(明川郡) 보촌리에 있는 봉우리. 주위의 칠보산에는 금강굴(金剛窟)·개심사(開心寺) 등이 있다. 주변을 흐르는 보촌천(寶村川)은 삼간봉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으로, 노적봉의 건너편에는 보림온천(寶林溫泉)도 있다. 산수경치가 아름다워

  • 노추산 / 老秋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과 정선군 여량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22m이다. 노추산은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는 조고봉(鳥高峰, 1,191m), 남서쪽에는 다락산(多樂山, 1,019m), 동쪽에는 사달산(四達山, 1,184m) 등이 솟아 있다

  • 노화도 / 蘆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에 속하는 섬. 주민 대부분은 반농반어에 종사한다. 농수산업의 비중이 80% 이상이다. 2007년 말 현재 토지 구성은 현재 3.76㎢, 밭 6.03㎢, 임야 14.19㎢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를 비롯하여 콩·감자·고구마·참깨·마늘 등이 있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