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문서 80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문서
  •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 金龍洛 殷山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1840년(헌종 6)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1월 29일 행평안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도순찰사관향사평양부윤이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41년(헌종 7) 4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4월 초9일에 이조에서

  •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 金裕成 永興都護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유성 영흥도호부사 해유문서. 1892년(고종 29) 4월 21일 후임관이 절도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5월 초1일 절도사가 병조에 첩정을 올린 것이다. 김유성은 원직(元稙)의 아들로 유행(裕行)의 동생이다. 1891년(고종 28) 10월 14일에 본직을 제수 받았

  • 김응선임명문서 / 金應善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11월 26일. 배종무관 김응선(金應善)을 황태자 이은(李垠)의 일본 유학시 배종으로 임명하는 문서. 1907년 11월 19일 순종황제는 조령을 내려 황태자 이은을 일본에 유학시키도록 명하였다. 순종은 당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 태자태사로 삼았

  • 김장생문묘배향교지 / 金長生文廟配享敎旨 [언론·출판/출판]

    1717년 문신·학자 김장생의 문묘 배향을 교명한 교지. 1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이 교지의 내용은 일종의 교서(敎書)에 해당하는데, 머리에 ‘敎贈領議政文元公金長生從祀文廟書(교증영의정문원공김장생종사문묘서)’라 하였고, 지키고 행하여야 할 교명(敎命)을

  • 김재일 휘릉별검 해유문서 / 金載一 徽陵別檢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재일 휘릉별검 해유문서. 1791년(정조 15) 6월 일에 후임관이 호조로 첩정을 보내고, 동년 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이관한 문서이다. 김재일(金載一)은 1788년(정조 12) 12월 21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월 30일에 홍전문(紅箭門)에서 숙배한 뒤에 도임하였

  • 김종무시장 / 金宗武諡狀 [정치·법제]

    조선 중기의 문신 김종무(金宗武)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892년(고종 29) 8월 장석용(張錫龍)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그의 후손 김세동의 요청에 의해 공조판서 장석용이 지었다. 시장의 말미에는 예조의 당상관이 서압하고 낭청이 착함하였으며,

  • 김종수 연풍현감 해유문서 / 金宗壽 延豊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종수 연풍현감 해유문서. 1809년(순조 9) 9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9월 17일에 수공충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10년(순조 10) 1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1월 초10일 이조에서 김종수에게 조흘

  • 김종직및김종직처조씨고신 / 金宗直─金宗直妻曺氏告身 [역사/조선시대사]

    1481년 문신·학자 김종직에게 도승지를 제수한 교지. 교첩. 조선시대에는 문무관 4품 이상의 고신(사령장)은 교지를 내렸고, 5품 이하의 고신은 교첩을 내렸다. 문무품관(文武品官)의 부인은 남편의 품계에 따라 직첩을 주었다. 부인의 직첩은 당상관 부인에게는 교지를,

  • 김중만장군공신록및교지 / 金重萬將軍功臣錄─敎旨 [언론·출판/출판]

    1728년 무신 김중만을 분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문서는 모두 3점으로, 교서 1점, 교지 2점이다. 1728년 7월에 작성된 교서(敎書, 공신록)에는 1등 공신에 오명항, 2등 공신에 김중만·박찬신(朴讚新)·박문수(朴文秀) 등 7

페이지 / 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