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박종악 / 朴宗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5∼1795). 1766년(영조 42) 사마시를 거쳐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관직에 진출하였다. 승지·대사간을 역임하였으나 형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복직 후 관직이 우의정까지 올랐고 동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박종열 / 朴宗說 [종교·철학/유학]
1754년(영조 30)∼1822년(순조 22).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박주승이다. 성담 송환기의 문인으로 학행과 효도로 이름이 알려졌다. 그의 저작은 격조가 높고 다양하였으며 문집으로《창백문집》목활자본 6권 2책이 있는데, 부·시·서를 비롯하여〈대학경의〉·〈중용
박종유 / 朴宗儒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75∼1755). 1728년(영조 4) 문과별시에 급제한 뒤 관직에 진출하여 요직을 두루 거쳐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시·서·화에 능했으며 저서로는《사변》1책이 있다.
박종화 / 朴鍾和 [문학]
1901년∼1981년. 시인·소설가·비평가. 1920년 휘문의숙 졸업, 1921년 <장미촌>에 시 <우유빛 거리> 등을 발표하여 등단, 1922년 <백조> 동인이 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시를 썼으나, 역사소설을 쓰기 시작, 1932년 <금삼의 피>, 1937년 <대춘부
박종후 / 朴宗垕 [종교·철학/유학]
1792년(정조 16) 4월 24일∼1864년(고종 1). 조선 후기 성리학자. 부친은 박시원이고, 모친은 안동권씨이다. 형제로는 박종교·박종서가 있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김영우의 딸 선성김씨이며, 둘째 부인은 장윤석의 딸 인동장씨이다. 정재 유
박종훈 / 朴宗薰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3∼1841). 1834년 순조가 죽자 그 행장을 지었고, 1837년 실록청총재관으로서《순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좌의정에 올랐으나 풍양조씨 세도의 압력으로 사직,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저서로는《사례찬요》· 편서로는《반남박씨세보》가 있다.
박주대 / 朴周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836∼1912). 1895년 을미사변 때 창의통유문을 지어 유문에 보내고 안동 의병장 권세연을 비롯하여 이강년·서상렬 등 의병장을 지원하였다. 또 아버지 박득녕이 써오던《역서일기》를 평생 이어서 썼다. 저서로는《나암유고》·《나암수록》·《문음보》·
박주운 / 朴周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0∼?). 1864년(고종 1)에 직강으로서 일강구목을 상소하였으며 이듬해 부수찬이 되었다. 이듬해 헌납을 역임한 뒤 비어책을 상소하였다. 1876년에는 화재를 당한 궁전의 수습책을 건의 하였다. 저서로《역학연고》2권이 있다.
박주종 / 朴周鍾 [종교·철학/유학]
1813년(순조 13)∼1887년(고종 24). 증조부 박중경, 조부는 박한통, 아버지는 박필녕, 외조부는 유성룡의 후손인 유정조이다. 학행이 독실, 문장은 박학하고 웅장하였다. 여러 번 향시에 합격은 하였으나 문과에 급제 못했다. 1863년(철종 14) 삼정의 실무에
박중경 / 朴重慶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관료(1726∼1782). 1754년(영조 30) 과거에 급제하였다. 경연에서 강의하였으며, 예조정랑, 운산군수, 충청도도사 등의 벼슬을 역임 하였다. 문집으로《동원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