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대구국제공항 / 大邱國際空港 [경제·산업/교통]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에 있는 국제공항. 1961년 4월부산비행장 대구사무소로 출발하여 1962년 7월에 대구비행장으로 개항하였다. 1990년 6월부터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에서 공항을 관리 운영하고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국내선은 1961년 4월대한국민항공사가 김포(서울

  • 대구법 / 對句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變化法)의 하나. 이 표현법은 병렬되는 두 언어 표현의 가락을 맞추는 데 그 본질이 있다. 이 맞춰진 가락에 의해 산출된 운율(韻律)은 표현을 아름답게 하는 한편, 그 뜻을 분명하게 드러내 주는 효과를 낳는다. 대구법은 성질이나 뜻에는 상관 없이 다만

  • 대구부산고속도로 / 大邱釜山高速道路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과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고속도로 제55호선의 일부를 구성한다.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을 기점으로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에 이르는 총 연장 82.05㎞, 너비 23.4m의 왕복 4차로 고속국도이다. 2001년 고속국도 노선

  • 대구분지 / 大邱盆地 [지리/자연지리]

    낙동강과 그 지류인 금호강·신천 유역인 대구 지역의 분지. 남쪽과 북쪽으로는 높이 300m 이상의 높은 산지로 둘러싸이고, 서쪽과 동쪽으로는 높이 150m 내외의 구릉지로 둘러싸인 평지이다. 대구분지처럼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역은 분지기후를 나타낸다. 이 기후의

  • 대구시립무용단 / 大邱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81년 지역문화 창달에 기여하고 무용의 대중화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창단된 대구광역시 산하의 시립현대무용단.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구시민회관 대강당에서 김기전(金起田)안무 「산」으로 창단공연을 가졌다.초대단장 김기전에 의하여 제11회 정기공연을 가졌

  • 대구시민운동장 / 大邱市民運動場 [예술·체육/체육]

    대구광역시 북구 고성동에 있는 종합경기장. 주경기장에는 야간조명장치와 전천후 포장이 된 육상경기 트랙이 설치되어 있다. 1962년 제43회 및 1975년 제56회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었고, 1981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예선전이 거행되었다. 1948년 4월 대구운동장

  • 대구염색산업단지 / 大邱染色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있는 산업단지. 대구 중심가에서 북서쪽으로 5㎞ 거리인 구마고속도로 연변에 위치해 있다. 샛강을 따라 동쪽으로 2㎞ 거리에 금호강(琴湖江)과 서쪽으로 1㎞ 거리에 달서천(達西川)이 흐르고 있다. 도심지에 산재되어 있는 염색공장을 집단화하여 공해

  • 대구지하철 / 大邱地下鐵 [경제·산업/교통]

    대구광역시에 건설된 도시 철도. 대구광역시 지하철은 세 개 노선이 운행 중에 있으며, 도심의 교통문제 및 대구 주변지역과의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대구는 서울, 부산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는 3번째, 세계에서는 84번째로 지하철을 보유한 도시이다. 대구에서의 지하철

  • 대구체육관 / 大邱體育館 [예술·체육/체육]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종합실내체육관. 1971년 4월 준공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에 건평 1,968㎡ 규모로, 1만 40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체육관이다. 체조ㆍ핸드볼ㆍ농구ㆍ배구ㆍ탁구ㆍ태권도ㆍ복싱ㆍ레슬링ㆍ펜싱ㆍ배드민턴ㆍ테니스ㆍ역도ㆍ검도ㆍ유

  • 대극 / 大戟 [과학/식물]

    대극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고려 때의 이두 향명으로는 유등칠(柳等漆)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는 유칠(柳漆)이 변하여 버들옻이라고 하였다. 요즈음은 우독초라고도 한다. 학명은 Euphorbia pekinensis RUPR.이다. 높이는 80㎝에 달하고 뿌리가 굵으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