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박외선 / 朴外仙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한 교육자.안무가. 일제 강점기 일본에 유학하여 정식 클래식 발레교육을 받은 최초의 조선인으로 한국인 최초로 일본 체육학교 무용교수이자 무용영화 안무가를 역임했다. 1960년대 미국의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

  • 박용상 / 朴龍相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학자.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고향에서 학문에 정진하는 한편,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김성탁·권만·권상일·이광정 등과 교유하였다. 문

  • 박우현 / 朴遇賢 [종교·철학/유학]

    1829(순조 29)∼1907. 조선 말기의 문신. 아버지는 박수룡이다. 1869년(고종 6)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승정원부정자가 되었고, 1871년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이듬해 통훈대부에 올라 전적이 되었고, 이어서 좌정언이 되었다. 1873 년 최익현이 상소로

  • 박운 / 朴雲 [종교·철학/유학]

    1493년(성종 24)∼1562년(명종 17). 조선 전기의 유학자. 부친은 박종원, 모친은 허량의 딸이다. 송당 박영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퇴계 이황과 서신을 왕래하는 등 친분이 있었고 정주학에 조예가 깊었다. 저서로는『격몽편』,『자양심학지론』,『경행록』,『삼후전』,

  • 박운수 / 朴雲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97∼1841). 1820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822년(순조22) 수빈박씨의 장례 때 종척집사를 하고 순흥부사에 이르렀다. 후에 돈령부판관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덕은유고》가 있다.

  • 박원종 / 朴元宗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10(중종 5). 조선 중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거소, 아버지는 중선, 어머니는 허곤의 딸이다. 선전관, 병조참지, 강원도관찰사,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 성희안, 유순정 등과 함께 반정을 모의해 연산군을 폐하고 중종을 옹립하였다.

  • 박윤원 / 朴胤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34∼1799). 김원행과 김지행의 문인이다. 1792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서연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하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하였다. 저서로《근재집》과 《근재예설》이 있다.

  • 박융 / 朴融 [종교·철학/유학]

    ?∼1424(세종 6).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영균, 아버지는 익, 어머니는 박충민의 딸이다. 1408년(태종 8) 생원시를 거쳐 같은 해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사간원정언,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시문집인『우당집』이 있다.

  • 박은 / 朴誾 [종교·철학/유학]

    1479(성종 10)∼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 아버지는 담손, 어머니는 이이의 딸이다. 박은은 1495년(연산군 1) 17세로 진사가 되었고, 이듬해에는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권지, 홍문관정자, 경연관 등을 역임하였다. 박은은 해

  • 박은식 / 朴殷植 [역사/근대사]

    1859-1925. 한말·일제강점기의 학자·언론인·독립운동가. 성리학과 위정척사사상에서 개화사상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1898년에 독립협회에 가입해 회원이 되었다. 그 해 11월의 지식인들이 중심이 된 만민공동회에서는 문교부장급 간부로 활동하였다. 신민회의 원로회원으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