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검역 / 檢疫 [과학/의약학]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해 취하는 조처. 검역은 국내검역·국제검역·가축 및 동물 검역·식물검역 등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과거의 역사를 훑어볼 때 각종 전염병이 주기적으로 유행되어 왔음을 엿볼 수 있다. 중세기에 전세계적으로 유행되

  • 검역등논보 / 檢役等論報 [정치·법제]

    미상의 하급 관아에서 미상의 상급 관아에 올린 논보. 시신의 검역을 행한 일, 죄수 마일천(馬日千)의 심문에 관한 일, 모백의 환상에 관한 일, 정배죄인의 공궤에 관한 일, 금주령의 시행 문제 등을 거론하고 있다. 이 논보는 어느 고을 수령이 상관인 관찰사에게 올린 것

  • 검열 / 檢閱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예문관의 정9품 관직. 1392년(태조 1)에 고려관제를 따라 예문춘추관을 설치하면서, 정9품인 직관으로 개칭하였다가 1401년(태종 1) 7월에 춘추관·예문관을 분리하면서 다시 검열로 고치고 예문관에 속하게 하였다.

  • 검와유고 / 儉窩遺稿 [종교·철학]

    조선후기 학자 전사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34년 그의 현손 기(琪)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의섭(宋毅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88수, 서(書) 1편,

  • 검은간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걸쳐 사용된 민무늬토기의 한 형식. 조형은 요령(遼寧)지방의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유적에서 출토되는 흑도장경호를 들 수 있다.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목이 긴 항아리가 주류를 이루며, 단면 원형의 점토띠토기(粘土帶土器)와 함께 중부 이

  • 검은꽃 [문학/현대문학]

    멕시코 한인 이민을 다룬 김영하의 장편 소설. 1905년 을사늑약 이후에 멕시코 유카탄으로 이민을 간 한인들의 비극적인 삶을 다룬 역사소설이다. 1905년에 을사늑약으로 인해 대한제국은 운명의 기로에 놓였다. 이 때 한인 1,033명은 배를 타고 멕시코로 이민을 하였다

  • 검은모루동굴유적 / ─洞窟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남도 상원읍(祥原邑) 흑우리(黑偶里)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동굴 유적. 상원강의 제방공사를 위한 채토작업 중 석회암 언덕의 남쪽 비탈에서 발견되었다. 조사는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진행되었다. 이 석회암동굴의 길이 약 30m범위 내에서 각종 동물화석과 석기가 발

  • 검인관 / 鈐印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과거의 시권에 확인 도장을 찍던 과장 종사관. 조선 초기에는 예조좌랑이 당연직으로 임명, 후기에는 예문관·성균관·교서관·승문원의 4관 관원 중에서 차출, 임명하였다. 시권의 날인은 시권을 넣은 겉봉투에 하는 외타인(外打印)과 시폭에 하는 내타인(內打印)이 있

  • 검제 / 檢題 [역사/근대사]

    1873년 충청감영에서 도내 살인사건의 검험(檢驗)에 대한 관찰사의 제사(題辭)를 모아 엮은 관찬서. 시체검안기록. 1책 57장. 필사본. 1873년(고종 10)에 편집되었으며 충청감영에서 엮은 것으로 보인다.내용은 충청도내의 치사사건·낙태사건·자살사건·독살사건 등 5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