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2,1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 서북영림창 / 西北營林廠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시기에 압록강과 두만강 연안의 삼림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 1907년 4월 서북영림창관제의 반포와 함께 설치되어 대한제국의 멸망 때까지 존속하였다. 영림창의 최고책임자는 칙임 또는 주임에 해당하는 창장이며, 그 밑에 사무관, 기사, 주사, 기수 등을 두

  • 서북철도국 / 西北鐵道局 [역사/근대사]

    서울과 신의주 사이에 경의선을 부설하기 위하여 1900년 궁내부에 설치한 관서. 대한철도회사를 건립한 박기종이 1899년 7월 6일 경의선 부설권을 취득하게 되었는데, 대한제국은 1900년 6월 궁내부에 서북철도국을 설치하였다. 이후 1902년 서울과 개성 구간의 기공

  • 서사 / 書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리의 차위직. 고려 태조 때부터 있던 실무·행정 담당의 말단 이속이었으며, 국자감에 2인, 예빈성에 8인, 위위시와 사재시에 각 6인, 대복시에 4인, 대부시에 12인이 배속되었다.한편, 서사는 입사직으로 998년(목종 1) 개정전시과에 제17과로 해당되어

  • 서성대훈장 / 瑞星大勳章 [역사/근대사]

    1902년 9월 추가로 제정, 반포된 훈장. 훈등은 대훈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이화대훈장 위에 있어 황친 및 문무관 가운데서 이화대훈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이 있을 때 황제의 특지로 수여하였다. 패용할 때는 정장이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왼쪽 가

  • 서수 / 書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고려시대에 각 관청에 소속된 이속직은 크게 서리직과 잡직 계통의 잡류로 나누고, 서리직은 입사직과 미입사직으로 구분된다. 그 중 서수는 장고 등과 함께 미입사직에 해당된다. 서수는 중서문하성에 26인, 예문관에 1인, 비서성에 15인, 어서원에 2

  • 서얼금고법 / 庶孽禁錮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양반의 자손이라도 첩의 소생은 관직에 나아갈 수 없게 한 제도. 서얼에 대한 차별의 규정은 ≪경국대전≫에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명시되어 있다. 예전(禮典) 제과조(諸科條)에 죄를 범해 영구히 임용할 수 없게 된 자, 장리(贓吏)의 아들, 재가하거나 실행한

  • 서연 / 書筵 [정치·법제/정치]

    조선시대 왕세자를 위한 교육 제도. 서연관의 자격 조건은 학문이 뛰어나고 단정한 사람이어야 하며, 비록 서연관이 되었다 하더라도 그 적임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직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파직되었다. 그러나 서연관은 세자를 근시함으로써 왕이나 세자의 지우를 얻을 기회가 많

  • 서영 / 西營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평양에 둔 친군영. 1884년 훈련도감 등 구군영을 개혁하여 중앙군을 친군오영으로 재편성하면서 지방군도 친군영 조직으로 개편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평양감영군도 1885년 친군서영으로 재정비 되었다. 서영의 조직이나 훈련은 중앙의 친군영편제와 조련방법에 따

  • 서예 / 書藝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중서문하성에 2인, 춘추관에 4인, 동궁에 2인, 비서성에 18인을 두었으며 태사서예도 있었다. 서예는 입사직으로서 동정직이 설정되어 있었다. 한편, 중서서예·비서서예·사관서예·태사서예는 1076년(문종 30)의 전시과에서 제16과에 해당되어 전지

  • 서운관 / 書雲觀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기상관측 등을 관장하던 관서. 천변지이를 관측, 기록하고, 역서를 편찬하며, 절기와 날씨를 측정하고, 시간을 관장하던 곳이다. 고려시대는 태복감(太卜監)·사천대(司天臺)·사천감(司天監)·관후서(觀候署) 등의 명칭으로 바뀌어오다가 1308년(충

페이지 / 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