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총 1,8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변박 / 卞璞 [예술·체육/회화]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자는 탁지(琢之), 호는 술재(述齋) 또는 형재(荊齋),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동래부 소속의 화원이었다. 1763년(영조 39) 통신사행의 기선장(騎船將)으로 일본에 건너가 대마도지도와 일본지도 및 풍물을 모사하여 돌아왔다. 유작으
변봉현 / 邊鳳現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창립준비위원을 역임한 체육인. 평안북도 박천 출생.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시절에 야구선수로 활약하였으며, 1909년 7월 제1차 유학생야구단이 모국을 방문할 때 선수단원으로 귀국하여 평양·개성·선천·안악·철산 등
보건운동 / 保健運動 [예술·체육/체육]
1932년 보건운동사에서 보건·위생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보건·위생 사상의 보급 등을 목적으로 창간한 잡지.보건전문월간지. 1932년 2월 1일 양봉근(楊奉根)이 편집 및 발행을 맡아 보건운동사(保健運動社)에서 창간하였다. 보건·위생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보건·위생 사
보격구 / 步擊毬 [예술·체육/체육]
말을 타지 않고 걸어다니면서 공을쳐 승부를 내는 경기. 말을 타고 행하는 격구방식을 간편화하여 걸어다니면서 공을 쳐서 정해진 구멍에 들어가게 하는 공치기 경기이다. 고려시대에 말을 타고 행한 격구의 방식이 조선시대에 와서 말을 타지 않고 보행하면서 행하는 놀이로 변형되
보디빌딩 / 보디빌딩 [예술·체육/체육]
중량의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신체의 골격과 근육을 발달시키는 신체운동. 체중의 많고 적음에 따라 체급을 나누고 그 체급별로 근육의 모양과 크기, 균형 발달 정도와 대칭 여부, 피부색깔, 그리고 골격과 자세 등을 심사하여 등위 를 결정한다. 보디빌딩은 예로부터 있어 왔지만
보라매공원 / ─公園 [예술·체육/체육]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에 있는 대규모의 공원. 면적은 41만 8㎡(12만 4,000평)이며, 건물부지 15만 4,578㎡에 25동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잔디광장 16만 1,819㎡, 녹지 2,813㎡, 연못 5만 9,500㎡의 규모로서 독서실 5동(棟), 청소년수
보령남포벼루제작 / 保寧藍浦─製作 [예술·체육/공예]
문방사우의 하나인 벼루를 만드는 일 및 그 기능을 가진 장인.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 우리 나라에서 벼루의 재료로 쓰이는 석연재(石硯材)는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무산·평양·장산곶·정선·평창·장단·단양·안동·경주·언양·강진과 계룡산 등이 대표적인 산지로
보령죽도해저유물매장해역 / 保寧竹島海底遺物埋藏海域 [예술·체육/공예]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에 있는 고려후기 상감청자·백자대접 등의 해저유물.청자매장해역. 사적. 사적 제321호. 지정면적 7.07㎢. 1987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한 달간에 걸쳐 탐사 및 발굴이 이루어졌다. 상감청자(象嵌靑磁) 40여 점과 백자대접 30점을 비롯하
보살춤 / 菩薩춤 [예술·체육/무용]
보현보살(普賢菩薩)의 형상화를 통해 동양 불교예술에 표현된 조형적인 여성의 미를 그린 최승희 안무의 대표작품. 「보살춤」은 한자리에 머물러 추는 것이 특징인 춤으로, 불상의 이미지에서 얻은 정서적 영감과 감성적 환영을 정중동(靜中動)이 돋보이는 춤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보상당초문 / 寶相唐草文 [예술·체육/공예]
보상꽃과 당초 덩굴로 나타낸 장식 무늬. 당초 무늬는 건축·공예·조각·회화 등의 조형미술 전반에 광범위하게 쓰인 장식 의장(裝飾意匠)으로, 인류가 수렵과 유목생활에서 목축·농경 생활을 시작하던 때부터 나타난 무늬로 알려져 있다.당초라는 말은 일본 헤이안문학(平安文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