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 인문지리 1,52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인문지리
  • 우견현 / 牛見縣 [지리/인문지리]

    삼국시대 백제의 지명(地名). 본래 백제시대에는 마시산군(馬尸山郡)에 속하였으며, 757년(경덕왕 16)에 경덕왕이 목우현(目牛縣)으로 이름을 고쳤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운곡리로 비정하고 있다.

  • 우계 / 羽溪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강릉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우곡현(羽谷縣, 또는 玉堂)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우계로 고쳐 삼척군의 속현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 강릉에 예속시켰고, 조선 세조 때강릉대도호부에 진관(鎭管)이 설치되면서 우계면으로 직촌(直村)이 되었다. 191

  • 우곡 / 牛谷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곡성군 서부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 마한과 백제시대의 옛 지명. 마한의 연맹왕이 신하들과 국사를 논하고 있을 때, 우곡성주(牛谷城主) 주근(周勤)의 밀사가 달려와 백제의 온조왕이 웅천(熊川)주 01)에 책을 쌓고 우곡성을 넘본다는 보고를 하였다. 마한이

  • 우발수 / 優渤水 [지리/인문지리]

    고구려 「동명왕신화」에 나오는 못[澤]의 이름. 고구려 시조 동명왕의 어머니 유화(柳花)가 부모의 허락없이 해모수(解慕漱)와 혼인하였다는 이유로 아버지 하백(河伯)에게 쫓겨나, 후일 부여왕 금와(金蛙)에게 발견될 때까지 살았다고 하는 곳이다. 『구삼국사(舊三國史)』에서

  • 우봉 / 牛峰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금천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우잠군(牛岑郡, 또는 牛嶺·首知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에 우봉(牛峰)으로 고쳤다. 1015년(고려, 현종 6)에는 평주(平州, 지금의 平山)의 속현이 되었고, 1062년(고려, 문종 16)에는 경기도 개성부(開城府)에 속

  • 우산국 / 于山國 [지리/인문지리]

    지금의 울릉도에 있었던 고대의 소국. 512년(지증왕 13) 신라에 복속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내물왕 4세손인 이사부(異斯夫)가 하슬라주(何瑟羅州)의 군주(軍主)가 되어 우산국의 병합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 나라 사람들이 어리석고 사나워 위엄으로는

  • 우시군 / 雩時郡 [지리/인문지리]

    자강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郡). 동부는 초산군·고풍군, 서부는 평안북도 벽동군, 남쪽은 송원군·평안북도 동창군과 접해 있으며, 북부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동북지방과 마주하고 있다. 면적은 703.01㎢로서 도 전체 면적의 4.19%를 차지한다. 현 행정구역은

  • 우시산국 / 于尸山國 [지리/인문지리]

    신라 초기 복속된 주변에 있었던 소국. 『삼국사기(三國史記)』거도전에는 탈해이사금을 섬기던 거도(居道)가 마숙(馬叔)이라는 말달리기 놀이를 빙자하여 우시산국과 거칠산국(居柒山國)을 멸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이사부전(異斯夫傳)에는 또 다른 거도설화가

  • 우암선 / 牛岩線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동구부산진역에서 남구신선대역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 부산항 신선대 부두의 인입철도 기능을 하는 화물전용 노선이며, 총연장은 6.1km이다. 여객열차는 운행하지 않으며, 화물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신선대 부두가 1991년 운영을 개시한 이후 컨테이너 처리 물량

  • 우예 / 虞芮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자성 지역의 옛 지명. 폐4군(廢四郡)의 하나이다. 본래 여연부(閭延府)의 우예보(虞芮堡)였는데, 조선 초기에 처음으로 만호(萬戶)를 두었으며, 1443년(세종 25) 4군을 설치할 때 유파(楡坡)ㆍ조명간(趙明干)ㆍ소우예(小虞芮) 및 자성군의 태일(泰日) 등을

페이지 / 15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