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사마소 / 司馬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기 지방의 생원·진사들이 각 고을에 설립한 자체 협의기구. 16세기 초(성종말∼연산군) 훈구파의 유향소 장악에 대한 반발로 사마시 출신의 젊은 유림들이 향권을 주도하기 위해 설립하게 되었다. 사마소는 대개 고을의 관아 근처에 있었는데 하나의 특수기관처럼 행세하

  • 사만 / 仕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필요한 근무일수가 되어야 자품이 올라가는 제도. ‘원사’는 정규근무, ‘별사’는 특별근무를 의미하여 일정한 일수를 더해준다. ‘별사’가 주어지는 경우 ‘원사’의 일수와 ‘별사’의 일수를 합하여 근무일수가 계산된다. 조선시대의 관직제도에서 산관은 국왕의 특별한

  • 사맹 / 司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8품 관직. 고려 말과 조선 초에는 산원(정8품)이라 불리다가 1394년(태조 3) 2월에 부사정으로 개칭되고,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 때 정8품의 사맹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이 당시에는 16인이 정원이었으나 후기

  • 사면도감 / 四面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개성을 중심으로 사면의 방위를 담당하던 특수관서. 사면도감의 규모는 사가 8인에 부사·판관이 각각 16인이나 되었으며, 사 8인이 직사3품 이상이었다는 사실은 이 기구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것으로, 수도를 중심으로 한 동서남북의 방위를 책임맡고 있던 관부임을

  • 사모 / 紗帽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백관이 주로 상복에 착용하던 관모. 1417년(태종 17) 12월 예조와 의례상정소의 상계에 의하여 갓 대신 사모를 쓰고 등청하게 되었다. 1426년(세종 8) 2월 관복제정 때에는 평상복에 사모를 착용하게 하였고, 이로써 조선 말기까지 가장 많이 쓰인 관모

  • 사문박사 / 四門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자감에 설치된 관직. 992년(성종 11)에 국립교육기관인 국자감이 설치되어 박사와 조교를 두어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 중 사문학에 둔 박사를 사문박사라 하였는데 문종 때 품계를 정8품으로 하였다. 그 뒤 1362년(공민왕 11)에 국자감을 성균관으로

  • 사바찐 / A. И. Серелин Сабатин [정치·법제/외교]

    1860-1921. 러시아 건축가. 경복궁 관문각 공사 지휘감독. 을미사변 목격. 상해에 머물면서 건축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한 사바찐은 1883년 9월 인천을 통해서 입국했고 '영조교사'라는 직명으로 한국정부와 고용 약정을 체결하였다. 1884년 사바찐은 인천해관원 소속

  • 사백 / 司伯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예문춘추관의 정3품 관직. 1308년(충선왕 복위) 한림원의 후신인 문한서와 사관을 합쳐 예문춘추관으로 개편할 때 문한서의 사학을 사백으로 고쳤다. 정원은 2인이며 모두 겸관이었다. 1311년 제학으로 개칭되었고, 이후 학사, 제학으로 여러 차례 고쳐지다가

  • 사병 / 司兵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군사의 일을 맡아보던 향리의 관사. 983년(성종 2) 주·부·군·현의 이직을 개정할 때 처음으로 기록에 보인다. 사병은 병부를 고친 이름으로, 이같이 지방세력이 성종 이전에 중앙관아의 관명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지방에서 독립적 세력을 유

  • 사복시 / 司僕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여마·구목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392년(태조 1) 고려 제도에 따라 사복시를 설치하고 수레·말·마구·목축 등을 관장하였다. 그 뒤 1405년(태종 5)에 병조의 속아문이 되고, ≪경국대전≫의 완성으로 정3품 아문의 관청으

페이지 / 2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