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농민생활 / 農民生活 [언론·출판/언론/방송]

    1929년 6월 14일에 평양 농민생활사가 창간한 3단 국문으로 내리 편집한 기독교 농민잡지. 내용은 광고, 논문, 문예, 잡문, 소개, 소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농민조합운동 / 農民組合運動 [역사/근대사]

    1926년부터 1935년 사이에 일어난 일련의 농민조합 형태의 농민운동. 1920년대 초 소작인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소작인조합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전체 농민을 포괄하는 농민조합으로 체제를 개편하였다. 이는 농민운동의 성격이 단순한 소작조건의 개선이라는 경제

  • 농상공부 / 農商工部 [역사/근대사]

    1895년 농, 상, 공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 행정기관. 관제 개편에 따라 설치된 7부의 하나이다. 갑오경장 때 농상아문과 공무아문을 합한 관아로서 농업·상업·공업 및 우체, 전신, 광산, 선박, 해원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농상공부관제'와 분과 규정이 그 뒤

  • 농상사 / 農商司 [역사/근대사]

    1882년에 설치된 통리군국사무아문 산하 관서. 1882년 11월 편민이국에 관한 일체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통리내무아문이 같은해 12월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개칭될 때 산하 관청의 하나로 설치되었다. 독판 1인, 협판 3인, 참의 3인, 주사 4인을 두었다.

  • 농상아문 / 農商衙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농업, 상업, 수산, 종목, 지질, 영업회사 등의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관서. 1894년 갑오개혁이 추진되면서 궁내부와 의정부로 나뉘어 개편되었다. 의정부 아래에는 내무, 외무, 탁지, 법무, 학무, 공무, 군무, 농상 등 8아문을 설치한 아문관제에 따라 그해

  • 농정신편 / 農政新編 [역사/근대사]

    1885년 안종수가 서양의 근대 농법을 토대로 저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4권 4책.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서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업 기술서로 과거의 농서와는 판이한 체계와 내용을 수록하였다. 특히 근대 과학을 토대로 한 식물학 또는 농화학적 지식을

  • 농정촬요 / 農政撮要 [경제·산업/산업]

    개항기 문신 정병하가 토양·비료·주곡작물·목화·담배 등의 재배법을 종합하여 1886년에 저술한 농업서. 3권 1책. 토양·비료·주곡작물과 목화·담배의 재배법을 종합 서술하였다. 자서(自序)와 목록·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문과 목록은 순한문, 본문은 국한문 혼용이

  • 농촌계몽운동 / 農村啓蒙運動 [역사/근대사]

    농민의 의식과 지식, 기술 등을 계몽하거나 개발하기 위하여 학생들 또는 학식 있는 지도층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단체를 형성하여 농촌사회에 봉사하는 사회교육적 활동. 농촌계몽운동은 주체가 농민이 아니었기 때문에 농민운동이 아니라 농촌운동이었다. 그리고 교육활동이면서 학교

  • 농촌청년 [언론·출판/언론/방송]

    1929년 2월 1일에 조선 기독교청년연합회에서 농촌부를 두고 농촌을 지도하던 때에 기관지로 펴낸 월간지. 한글 1-2단으로 내리 편집되었으며, 사설, 논설, 강좌, 농업, 문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농포집 / 農圃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정문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8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4책. 목판본. 초간본은 1758년(영조 34)에 현손 상점(相點)이 간행했으며, 1890년(고종 27)에 9대손인 혁교(奕敎)가 중간하였다. 초간본은 1권만이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으며, 그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