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선산민란 / 善山民亂 [역사/근대사]

    1862년 4월 2일 경상도 선산도호부에서 일어난 민란. 이 해에 발생한 삼남 여러 고을의 민란과 합쳐 ‘임술민란’으로 통칭된다. 당시 선산에서도 삼남의 다른 고을들과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민폐가 있었지만, 특히 결전의 징수가 과중하였다. 그해 2월에 진주에서 일어난 민

  • 선산향교 / 善山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동리에 있는 향교. 1450년(세종 3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에 부사 김용(金涌)이 대성전과 동재(東齋)·서재(西齋)를 중건하고, 16

  • 선상 / 選上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에 각 관아에서 지방의 관노비를 중앙에 뽑아 올리는 제도. 조선시대의 선상은 선상노비로, 중앙 각 관서의 잡역에 종사할 노비의 십중팔구가 지방에 살았으므로 7번 교대로 경중에 입역시켰다. 한 사람이 3년마다 6개월 동안 경중에 입역, 봉족 2명이 주어져 이

  • 선상탄 / 船上歎 [문학/고전시가]

    1605년(선조 38)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전문 68절 144구. 『노계집(蘆溪集)』에 실려 있다. 박인로가 통주사(統舟師)로 부산에 부임할 때 전선(戰船)에서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하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무부(武夫)로서의 지은이의 패기와

  • 선석가사 / 仙石歌辭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신계영(辛啓榮)의 가요집. 국문필사본. 1959년에 후손 익교(益敎)에 의하여 간행된 석판본 『선석유고(仙石遺稿)』에 『취성세고(鷲城世稿)』 발췌가 부록되었는데, 그 가운데 계영조(啓榮條)에 실려 있다. 내용은 가사작품 「월선헌십육경가(月先軒十六景歌)

  • 선세언독 / 先世諺牘 [언어/언어/문자]

    은진송씨(恩津宋氏) 송준길의 후손가(後孫家)에서 전해 내려온 40건의 한글 편지를 모은 서간집.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편지 4건, 장모 진성이씨 3건, 큰며느리 배천조씨 3건, 손자 송병하 4건, 송병하의 처 안정 나씨 2건, 증손 송용화 5건 등의 가문

  • 선세언적 / 先世諺蹟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고령박씨 문중의 7대 내간을 모아놓은 책. 1책. 필사본. 박장원(朴長遠)의 어머니로부터 경규(敬圭)의 계비에 이르기까지의 내간이다. 서첩의 성립시기는 1851년(철종 2) 이후 1854년 사이로 보인다. 이 서첩을 작성하였으리라 믿어지는 박영원은 박장원의

  • 선수집 / 選粹集 [문학/한문학]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 김지(金祉)가 편찬한 시문선집(詩文選集). 김지가 고금의 시문(詩文) 약간 권(卷)을 모으고 이색(李穡, 1328∼1396)에게 제목을 구하자 이색이 『선수집(選粹集)』이라 이름 지어주었다. ‘선(選)’은 양(梁)나라 소통(蕭統, 501~531

  • 선시 / 禪詩 [문학/한문학]

    모든 형식이나 격식을 벗어나 궁극의 깨달음을 추구하는 선적(禪的) 사유(思惟)를 담고있는 불교시. 선시인들의 대표적인 인물과 저서로는 일연(一然)의 『삼국유사』, 충지(冲止)의 『원감록 圓鑑錄』, 경한(景閑)의 『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 하권과 그의 어록인 『백운화상

  • 선시 / 選試 [역사]

    승려들의 과거시험. 매 3년마다 선종은 전등(傳燈)·염송(拈頌), 교종(敎宗)은『화엄경』,『십지론』을 시험 보여 각각 30인씩을 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