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선부수삼천 / 宣部守三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관을 천거하던 제도. 무과에 급제한 사람을 문벌에 따라서 선전관·부장·수문장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추천하였다. 선전관의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을 선천, 부장을 추천하는 것을 부천, 수문장을 천거하는 것을 수천이라고 하였다. 또한, 선전관과 부장의 후보자로 추
선부인가전 / ─家傳 [문학/고전산문]
낙원이 어머니 선부인의 행적을 그린 가전(家傳).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선부인의 인격을 선양하기 위해 씌어진 가전으로, 선부인의 혈통을 밝히는 서두 부분과 선부인의 출생에서부터 죽음까지를 그린 중간 부분, 그리고 선부인의 언행과 덕을 칭송하는 결말 부분으
선분기담 / 仙分奇談 [문학/고전산문]
작자 미상의 신소설. 국문필사본. 1906년에 필사된 단편소설집 『오옥기담(五玉奇談)』에 실린 작품 중의 하나이다. 현실세계와 선계(仙界)에서 벌어지는 남녀 주인공의 기이한 결연담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우심의 처 하랑은 천상의 신선으로 등장한다. 하랑의 금낭은
선비 / 선비 [사회/사회구조]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에 대한 호칭으로, 특히 유교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 또는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선비는 한자어의 사(士)와 같은 뜻을 갖는다. 어원적으로 보면 우리 말에서 선비는 ‘어질고 지식이 있는 사람’을 뜻하는 ‘선ᄇᆡ’라는 말에서 왔다고 한다. 유
선비화경휘덕숙빈최씨제문 / 先妣和敬徽德淑嬪崔氏祭文 [역사/조선시대사]
숙빈최씨 제문. 1756년(영조 32) 1월 1일, 영조가 숙빈최씨에게 '휘덕(徽德)'이란 시호를 가상하고 죽책(竹冊)과 은인(銀印)을 올리기 위해 지은 제문이다. 주례(周禮)에 근거하여 '선비(先妣)'라는 칭호를 사용할 것을 고하였다.
선비화경휘덕안순숙빈최씨치제문 / 先妣和敬徽德安純淑嬪崔氏致祭文 [역사/조선시대사]
숙빈최씨 치제문. 1775년(영조 51) 3월 9일 영조가 세손을 육상궁에 보내 전배할 때의 제문으로 영조가 직접 지었다. 오늘의 전배를 세손에게 맡기고, 또 지난 번 춘향(春享)도 육상궁에서 직접 전배하지 못하고 창덕궁에서 지낸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축문만은 직접 지
선사시대 / 先史時代 [역사/선사시대사]
문자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시작한 시대의 이전 시대. 선사시대(prehistory)는 문자를 사용하는 역사시대(history)와 대칭되는 개념이다.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사이의 과도기를 원사시대(protohistory)라고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선사시대는 구석기시대,
선사포 / 宣沙浦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철산군 백량면 기봉동에 있었던 포구(浦口). 철산군의 남쪽 해안가에 위치하였으며 진영(鎭營)이 설치되어 있던 곳이다.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겸 감목관(監牧官)이 1인 배치되어 있었으며 군사는 모두 865인이 있었다. 병선(兵船)의 분포를 살펴보면, 대맹선
선산 / 先山 [사회/가족]
조상의 무덤 또는 그것이 있는 산. 선산은 분묘와 이에 부속된 임야를 합친 것으로서, 분묘의 기지(基地)를 제외한 임야에서 나오는 수익이 묘제(墓祭)나 묘의 관리 등을 위하여 쓰일 때는 위토(位土)의 일종이 되며, 산림채취 등 일상생활에서 선영 근처에 사는 자손들만이
선산 / 善山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 있었던 지명. 본래 신라의 일선군(一善郡)이었는데, 614년(진평왕 36)에 사벌(沙伐)과 감문(甘文)에 있던 상주(上州)의 주치소(州治所)가 이곳으로 이동해 오면서 일선주(一善州)로 개편되었다. (중략) 갑오개혁 직후인 1895년에 소지역주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