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선무사 / 宣撫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재해나 병란이 일어난 지역에 민심을 무마하고 주민을 진제하기 위해 국왕이 임시로 파견하던 관리. 소정의 임무를 다한 뒤에는 저절로 직함이 소멸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 들어와 삼정의 문란과 신분제의 동요로 인해 각처에서 민란이 빈발하게 되었을 때, 주로

  • 선문대할망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거녀(巨女)인 선문대할망의 모습과 창조 업적·죽음 등에 얽힌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한다. 담수계(淡水契)편 『탐라지(耽羅誌)』 등 문헌에는 ‘설만두고(雪慢頭姑)’라고 표기되어 있다. 제주도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단편적인 전설로 전승

  • 선문통해 / 鮮文通解 [언어/언어/문자]

    1922년 이필수(李弼秀)가 서울말의 발음을 위주로 서술한 문법서. 범례에서 “시의에 맞추어 편의상 한자를 섞어 썼다.”고 하고, “현대어로 근원을 삼아 한자음도 서울발음을 주체로 하였다.”고 하며, “와전된 한글의 불합리를 시정하였다.”고 전제하였다. 특이한 것은 유

  • 선민 / 選民 [언론·출판/언론/방송]

    1919년 1월 30일에 창간되었지만 바로 폐간된 잡지. 이 잡지는 국한문 혼용 종서 편집되었으며 창간사, 논문, 문예, 잡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선반가 / 宣飯歌 [문학/고전시가]

    1527년(중종 22)이현보(李賢輔)의 어머니가 지은 시조. 『농암문집(聾巖文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보가 26세 때 동부승지로 말미를 얻어 어머니를 뵈러가게 되자, 그 소식을 들은 이현보의 어머니가 지었다. 일찍 부모를 여읜 이현보의 어머니는 외삼촌인 문절공(文節

  • 선봉알섬바닷새번식지 / 선봉알섬바닷새번식지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선봉군 우암리에 있는 바닷새 번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340호. 우암리 서남쪽 약 5㎞, 선봉항에서는 약 15㎞ 거리에 자리한다. 섬의 길이 900m, 폭 500m, 섬의 둘레는 2,620m, 표고 66m이다. 섬의 북동쪽은 바위 절벽인데 비해 남서면은 비교

  • 선봉종합농장 / 先鋒綜合農場 [지리/인문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나진·선봉시 선봉군에 있는 군단위(郡單位) 농장. 선봉군은 광복 당시 웅기군(雄基郡)으로, 1945년 8월 북한공산주의자들이 첫발을 디디었다고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으며, 이를 기념하여 군단위 종합농장이 설치되었다. 종합농장은 사회주의적 기업관리 형

  • 선봉콜호즈 / 선봉콜호즈 [사회/사회구조]

    1937년 고려인 강제이주 이후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주 칠리구역에서 고려인 중심으로 결성된 벼농사 전문 집단농장(콜호즈). 1937년 연해주에서 강제이주된 고려인 중심으로 결성된 ‘아방가르드’ 콜호즈는 설립초기부터 벼농사에서 경이적인 생산량 증가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

  • 선부 / 膳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옹원의 잡직 종7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선(膳)은 선(善)과 통하며 미물(美物)을 진선(珍膳)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선부는 식관(食官), 즉 식사담당관의 우두머리를 의미한다. 문소전(文昭殿) 수라간의 반감(飯監)과 대전 다인방(多人房)의 반감이 임명되

  • 선부 / 選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문신의 선임·공훈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1275년(충렬왕 1) 원의 간섭으로 3성 6부제가 격하 개편, 1298년(충렬왕 24)에 이부와 예부를 병합한 전리사가 전조로 되면서, 예부의 기능은 의조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1308년(충렬왕 34) 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