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총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옥주호연 / 玉珠好緣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목판본. 이본으로 박건회저(朴建會著)로 되어 있는 활자본 「음양삼태성(陰陽三台星)」과 필사본 「삼옥삼주기(三玉三奏記)」(金東旭 소장본)가 있다. 이 이본들은 「옥주호연」을 원본(原本)으로 하여 각색한 것으로, 큰 차이는 보이지
옥중제성 / 獄中提醒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이문우(李文祐)가 지은 천주가사. 『옥중제성』의 형식은 4·4조, 총 130구로 되어 있다. 내용은 그 첫머리에서 “우ᄆᆡᄒᆞ다 군난이여 텬샹과(天上科)를 뵈심이라/인인선악(人人善惡) 포폄(褒貶)ᄒᆞ네 실허진가(實虛眞假) 분명하다/세옥지고(世獄之苦) 엇더하
옥지기 / 玉支璣 [문학/고전산문]
청나라의 재자가인소설 『옥지기(玉支璣)』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중국 청대(淸代) 천화장주인(天花藏主人)이 지은 재자가인소설(才子佳人小說) 『옥지기』(20회)를 번역한 책이다. 『옥지기』는 남녀 주인공이 봉건제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의지와 선택으로 혼인문제를 결정
옥호빙심 / 玉壺冰心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4권 4책. 한글필사본. 이 소설은 명나라 태조 말에서 성종 즉위 초까지를 배경으로 하여 재자(才子)인 사강백이 기옥호·해빙심 두 가인(佳人)과 결연하게 되는 과정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 사강백과 해빙심이 결연
옥환기봉 / 玉環奇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규장각본은 15책으로 되어 있고,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조동일(趙東一)이 소장하고 있는 것은 2책으로 되어 있다. 천정연분(天定緣分)인 남녀주인공이 결연을 성취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 소설은 고전소설에서는 드물게 왕실
옥황기 / 玉皇記 [문학/고전산문]
황중윤(黃中允, 1577∼1648)이 지은 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작품 말미에 “근래에 성이 아무개인 동명(東溟)이라는 사람이 진군(眞君)에게 전(箋)을 올렸다.”라는 기록이 있다. 진군은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작품 속 인물과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자신
옹고집전 / 雍固執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원래 판소리 열두마당의 하나였다고 하나, 판소리로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 작품은 설화소설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동냥 온 중을 괄시해서 화를 입게 되었다는 설정은 ‘장자못이야기’와 상통하는데, 부자이면서 인색하기만
와룡선생출사전 / 臥龍先生出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인 제갈량(諸葛亮)의 혼인담을 비롯하여,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로 거사를 도모하기까지의 제갈량의 행적을 소설체로 엮은 글이다. 이 작품은 「삼국지연의」에서 파생된
와사옥안 / 蛙蛇獄案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필사본. 이두문(吏讀文)으로 된 우화소설이다. 이 작품은 우리 고전소설 가운데에서 유일한 이두소설(吏讀小說)이다. 이 작품은 동물인 개구리와 대망의 재판을 통하여 조선시대에 있어서의 재판의 모순을 풍자하고 있는 내용으로, 풍
완산가 / 完山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민주현(閔胄顯)이 지은 가사. 1권 1책. 국한문·한글필사본. 양반이 지은 가사이기는 하지만 후기 가사의 특성인 4·4조가 117구, 3·4조가 60구로 4·4조가 약 두 배나 많다. 종가본과 송곡본을 비교할 때, 송곡본에는 남천(南川) 표모(漂母)의 풍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