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김제남 / 金悌男 [종교·철학/유학]

    1562(명종 17)∼1613(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안도, 아버지는 증 영의정 오, 어머니는 권상의 딸이다. 선조의 장인이다. 1594년 의금부도사·공조좌랑을 거쳐, 1596년 연천현감을 지냈다. 159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601

  • 김제신 / 金悌臣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499(연산군 5).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관찰사 자지, 아버지는 내자시윤 해, 어머니는 동지총제 성개의 딸이다. 1462년(세조 8)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정자, 집의, 좌승지, 예조참판, 병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하

  • 김조순 / 金祖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5∼1832). 딸이 순조의 비로 봉해지자 영돈령부사로 영안부원군에 봉해지고, 이어 훈련대장·호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시책문·옥책문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저서로《풍고집》이 있다. 양주 석실서원, 여주 현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김종걸 / 金宗傑 [종교·철학/유학]

    1628년(인조 6)∼1708년(숙종 34). 조선 후기 유학자·효자. 조부는 김흠, 부친 통덕랑 김해윤과 모친 금성현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12세에 사서를 읽었으며, 부친이 자리에 눕자 소태산에 제단을 쌓고 7일 낮밤을 금식하며 기도를 올려 꿈속에서 신령이 가르쳐

  • 김종구 / 金鍾九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일제 지배 당시 금산면의 서기로 근무하였다. 1919년 3·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3월 22일 상옥리의 김용술, 임승환 등은 각 지방에서 일어나는 3·1독립운동과 호응하여 금산군에서도 일대 시위운동을 전개할 것에 합의, 금산

  • 김종덕 / 金宗德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24∼1797). 1753년(영조 29)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저서로는《천사집》·《성학입문》·《예문일통》·《예서》 등이 있다.

  • 김종서 / 金宗瑞 [종교·철학/유학]

    1383(우왕 9)∼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평 태영, 아버지는 도총제 추, 어머니는 대사헌 배규의 딸이다. 1405년(태종 5) 식년 문과에 동진사로 급제해 1415년 상서원직장을 지냈다. 우정언, 이조정랑, 함길도도관찰사, 우의정을 역

  • 김종수 / 金鍾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권신(1728∼1799). 할아버지는 참판 희로, 아버지는 치만, 어머니는 홍석보의 딸이다. 부인은 윤득경의 딸이다. 영조가 죽자 행장찬집당상이 되었고, 승지·경기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치고, 규장각이 정비되면서 제학에 임명되었다. 사도세자를 위한 토

  • 김종정 / 金鍾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유학자(1722∼1787). 아버지는 대사간 치후, 어머니는 이규수의 딸이다. 예조참판·도승지를 거쳐 의주부윤이 되고 이듬해 청천군에 봉해졌다. 대사헌·경기감사·병조참판·이조참판·성균관대사성·형조판서·이조판서·예조판서 등 많은 요직을 역임하였다. 저

  • 김종직 / 金宗直 [종교·철학/유학]

    1431-1492. 조선 성종 때의 성리학자. 김숙자의 아들로서 길재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영남학파의 종조로서 성종 당시 자신의 문인들을 관직에 많이 등용시켰다. 기성세력인 훈구파와 대립하였다. 무오사화로 부관참시를 당했다. 효제충신과 인정의 실시를 이상으로 하였다.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