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석존일대가 / 釋尊一代歌 [문학/고전시가]

    1927년에 이응섭(李應涉)이 발표한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1324구. 전체를 9장, 331절로 제시하였다. 『불교』 35호(1927.5)에 “이응섭 구고(舊稿)”로 수록되어 있다. 『조선불교계』 1∼3호(1916.4∼6)에는 “이응섭 원작

  • 석주 / 石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강계 지역의 옛 지명. 이 지역은 본래 고구려의 땅이었는데 뒤에 발해ㆍ여진 등이 이 땅을 차지하였다. 본래 독로강(禿魯江)이었는데, 1361년(공민왕 10) 처음으로 진(鎭)을 설치하고 만호(萬戶)를 두었으며, 뒤에 북계(北界)의 관할에 넣었다. 이 시기의 관

  • 석주 / 碩州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연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동음홀(冬音忽, 또는 冬三忽)이었는데, 신라 때 해고군(海皐郡)으로 하였고, 고려 태조 때 염주(鹽州)로 고쳤다. 고려 현종 때 군을 폐하여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에 속하게 하였고, 1217년(고종 4) 이 고을 사람이 거란

  • 석주집 / 石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시인 권필의 시문집. 11권 4책. 목판본. 본집은 8권으로 1631년(인조 9) 이식의 문인 심기원이 간직하고 있던 구본과 이안눌의 숙부집에서 발견된 신본, 그리고 집에 보관되어 있던 난고를 추려 편집하였다. 외집 1권은 그밖의 잡문을 모은 것으로 163

  • 석죽화 / 石竹花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정습명(鄭襲明)이 지은 한시. 불우한 작자의 처지를 들에 핀 패랭이꽃에 비유한 작품이다. 『동문선』 권9에 실려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선 모두들 붉은 모란꽃만 사랑하여/정원에 가득히 심고 가꾸네/누가 이 거친 초야에/좋은 꽃떨기 있는 줄 알기나

  • 석지형 / 石之珩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경하이다. 1633년(인조 11) 진사가 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뒤에 형조좌랑이 되었다. 횡성현감으로 재직중 김해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와 오랫동안 강화부교수를 지냈다. 현종 때 개성부교수를 지냈다.

  • 석창온천 / 石倉溫泉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희천군 장동면 원흥동(현재의 향산군 석창리)에 있는 온천. 『동국여지승람』에 “온천은 군의 동쪽 50리 거리의 원홍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듯이 개발 역사가 300년이 넘은 오래된 온천이다. 원홍리(元洪里)가 뒤에 음이 비슷한 원흥리(元興里)로 바뀌었고 예로

  • 석천동느티나무 / 石川洞─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용강군 용강읍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37호. 느티나무는 석천동 마을의 집 옆에 독립수로 있다.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석회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질메흙이며 습기와 거름기는 적당하다. 석천동느티나무는 1810년

  • 석촌유고 / 石村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 임서(林㥠)의 시문집. 1책. 필사본. 편차를 구분하지 않았다. 대략 저작 연대순으로 1598년(선조 31) 29세 때부터 죽기 전까지의 시문을 수록하였다. 1982년 경문사에서 영인하였다. 내용은 시 500여 수, 유문(諭文) 2편, 서(序) 2편,

  • 석춘사 / 惜春詞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모두 220구로, 3·4 내지 4·4조가 기조를 이룬다.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고가요집주(古歌謠集註)』·『가사문학전집(歌辭文學全集)』 등에 실려 있는데, 이른바 규방가사로 전해오는 「석춘가」와는 그 내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