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석북집 / 石北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신광수의 문집. 16권 8책. 목판본. 1906년 5대손 관휴가 간행하였다. 이 밖에 아들 우상·기상이 사후 시문을 정리, 편집하여 엮은 필사본 8책이 따로 전한다. 권두에 장석룡의 서문이 있다. ≪석북집≫ 권1∼10은 시, 권11·12는 서, 권13

  • 석불가탈견 / 石不可奪堅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칠언배율. 『동문선 東文選』에 전한다. 제목에서 말한 바와 같이, 돌의 굳음은 빼앗을 수 없다고 한 것으로 선비의 굳센 뜻을 나타냈다. 음양이 처음 갈라진 뒤에, 물건의 종류가 수만가지 생겨나 서로 뒤얽혔지만, 돌은 그 중에서

  • 석산유고 / 石山遺稿 [종교·철학/유학]

    권종원의 문집. 석판본, 발:권리주(1963)·권정흠(1964), 4권2책. 조선 후기의 문인 권종원(1880~1937)의 유문들을 모아 만든 시문집이다. 권1은 부1편, 사 1편, 시 115제 169수, 서 38편, 권2는 서 13편, 후지 1편, 잠 1편, 찬 2편

  • 석성 / 石城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진악산현(珍惡山縣)이었는데, 686년(신문왕 6) 석산(石山)이라 고치고, 757년(경덕왕 16) 부여군의 영현으로 삼았다. 940년(태조 23) 석성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공주에 예속시켰으며, 1172년(명종

  • 석성향교 / 石城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에 있는 향교. 고려 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창건 연대는 미상이며,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36년(인조 14)에 중건하였으며, 1950년에 명륜당을, 1969년에

  • 석쇠 / 咊金 [생활/식생활]

    고기를 굽는 데 사용되는 조리 기구. 철사를 그물처럼 엮어 만든 조리 용구로 숯불 화로에 올려 고기나 생선을 굽는 데 사용하였다. 석쇠, 적쇠, 적철이라고도 하며 둥근 모양과 네모난 모양이 있다. 잔치 때에는 많은 양의 고기를 구워야 하므로 크기가 큰 석쇠가 사용되었다

  • 석수 / 石手 [사회/사회구조]

    돌을 다루어 어떤 형상을 빚거나 물건을 만드는 기술자. 우리 나라에서는 질 좋은 돌을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성곽은 물론 궁궐 축조에도 돌을 많이 썼으며, 일반 살림살이에도 돌로 만든 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석수의 기술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그리고 그

  • 석실서원 / 石室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미금시 수석동(水石洞) 석실마을에 있었던 서원. 1656년(효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상용(金尙容)·김상헌(金尙憲)의 충절과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祠宇)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3년(현종 4)에 ‘석실(石室)’이라고 사액되어 서원으로 승격되었

  • 석씨원류응화사적 / 釋氏源流應化事蹟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헌종(憲宗) 명편, 목판본, 3책(영본, 전4권 4책). 1673년(康熙 12). 불교의 원류를 도설한 책이다. 한문 설명과 그림 각 1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19세기 이후 인출본(印出本)이다.

  • 석옥수록 / 石玉隨錄 [문학/한문학]

    작자·연대 미상의 기행시집. 불분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필사연대는 알 수 없으나 필치가 정밀하다. 책1·2에 시 528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즉경(卽景)·영물(詠物)·차운(次韻)·화운(和韻)·송별(送別)·기증(寄贈)·만시(挽詩) 등의 시제(詩題)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