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석루집 / 石樓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이경전의 시문집. 4권 4책. 목판본. 아들 무가 병자호란에 없어지고 남은 원고를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권1·2에는 시, 권3에는 소·차·제문·기·발·설·명·인·상량문·서·책, 권4에는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시가 가장 많은 분량
석류나무 / 石榴─ [과학/식물]
석류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뒤틀리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이란·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는 약 500년 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꽃은 양성화이며 6월에 홍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6∼8㎝로서 9∼10월에 황색 또는
석말 / 舃襪 [정치·법제]
신과 버선. 석은 왕복 중에서 조ㆍ제복에 착용하는 신이다. 보통의 신은 단층으로 되어있으나 석은 겹으로 되어 있어 상층은 가죽이고, 하층은 목재로 되어 있다. 기록에 의하면 예를 행할 때 오래 서있으면 발바닥이 축축해지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나무를 댔다고 한다. <영
석모도 / 席毛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202명(남 1,113명, 여 1,08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075세대이다. 중동부에 위치한 석모리가 중심지를 이루어 면사무소·우체국·농협·수협 등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13.8
석문국가산업단지 / 石門國家産業團地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와 고대면 성산리 일대에 조성되어 있는 국가산업단지. 1991년 12월에 국가공업단지로 지정된 석문국가산업단지는 1992년 1월 충청남도를 사업 시행자로 지정하였다. 1994년 9월에 건설부의 승인을 받아 2001년을 완공 목표로 공사가
석문정시가단 / 石門亭詩歌壇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 채헌(蔡瀗)을 중심으로 석문정(石門亭)에서 이루어진 시가 모임. 석문정시가단은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사족 채헌(1715~1795)이 1787년(정조 11) 현재 문경시 산북면 이곡리에 석문정을 세우고 친인척, 동학과 더불어 시가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활동을 펼
석별가 / 惜別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217구이며 4·4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혼인식을 올린 뒤 친가에 머물다가 시댁으로 아주 살러갈 신행(新行)날을 잡아놓은 신부가 친구들에게 신행풍속을 읊은 노래이다. 여자들은 남자들과 달리 여러가지 자잘한 일들로
석병산 / 石屛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과 강릉시 옥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55m.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海岸山脈)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만덕봉(萬德峰, 1,035m), 서쪽에 대화실산(大花實山, 1,010m), 서남쪽에 노추산(魯鄒山, 1,322m), 동남쪽에 자병산(
석보상절 / 釋譜詳節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 때 수양대군이 왕명으로 석가의 일대기를 찬술한 불경언해서. 1446년(세종 28)에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가 사망하자, 그녀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가의 전기를 엮게 하였는데,《석가보》,《법화경》,《지장경》,《아미타경》,《약사경》 등에서 뽑아 모은 글을 한글로
석봉천자문 / 石峰千字文 [언어/언어/문자]
6세기 중국양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지은『천자문』에 한글로 석과 음을 단 한자 교본. 『천자문』은 6세기 중국양나라의 주흥사가 지은 책이다. 국내에는 백제 때 처음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나 우리나라 기록상으로는 고려충목왕(1344∼1348)이 천자문을 배웠다고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