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석계서원 / 石溪書院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에 있는 서원. 조선시대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예(李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경내의 건물로는 상충사(尙忠祠)·경수당(敬守堂)·신문(神門)·적실재(蹟實齋)·치지재(致知齋)·주소(주所)

  • 석고가 / 石鼓歌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조수삼(趙秀三)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 72구. 내용의 이해를 돕는 주를 달았다. 『추재집(秋齋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석고문을 소재로 하여 그것에 대한 감회·역사·모양 등에 대하여 읊은 시이다. 1단에서는 한유(韓愈)와 소식(蘇軾)의 석고에 대한

  • 석남사내 / 石南思內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원가(原歌)와 한역가(漢譯歌) 모두가 전하지 않는다. 제목과 노래에 대한 짧은 언급이 『삼국사기』 잡지(雜誌) 제1 악조(樂條)에 기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樂志) 17에 옮겨져 있다. 『삼국사기』

  • 석담구곡 / 石潭九曲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벽성군 고산면 석담리에 있는 명승지. 석담은 선적봉과 지남산의 깊숙한 계곡이다. 은병정사를 중심으로 한 상·하 석담천의 아홉구비 풍광이 뛰어나 1575년(선조 8) 이이가 구곡의 이름을 붙이고,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를 지었다. 제1곡은 해주성 서쪽 18㎞에

  • 석담느티나무 / 石潭─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벽성군 석담리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29호. 느티나무는 석담 명승지를 거슬러 흐르는 구곡천 기슭에 있다. 뒤에는 오랜 유적지인 소현서원이 있고 앞에는 휴양소 건물들이 자리잡고 있다. 석담 느티나무는 1470년경부터 자라온 것으

  • 석도 / 席島 [지리/자연지리]

    황해남도 과일군에 속하는 섬. 석도의 면적은 7.955㎢, 둘레는 42.42㎞, 높이는 132m이다. 북부 월사반도 비파곶에서 북쪽으로 약 3.5㎞ 떨어 져 있고 과일군 석도리에 속한다. 북쪽에는 덕도(德島), 남서쪽에는 초도(椒島)가 있고, 남쪽에는 5㎞ 가량의 좁은

  • 석독구결 / 釋讀口訣 [언어/언어/문자]

    한문을 우리말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구결(口訣). 석독구결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한자의 자형을 단순화한 구결자(口訣字)로 토를 단 자토석독구결(字吐釋讀口訣)이고, 다른 하나는 점이나 선 모양의 구결점(口訣點)으로 토를 단 점토석독구결(點

  • 석두성 / 石頭城 [지리/인문지리]

    삼국시대의 성.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의 면주도경(沔州圖經)에 따르면, 면주는 삼국시대에 고구려와 백제가 서로 공취하여 창고를 석두성(石頭城)에 두었다고 한다. 면주는 지금의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일대를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이곳에 곡식을 쌓아 두고 수군의

  • 석란유고 / 石欄遺稿 [종교·철학/유학]

    장용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지은이의 6세손 장의진이 갑진(1904)년에 기록한 지가 있다. 1904년 승문원 부정자 평해황씨 황헌의 서문과 지은이의 직계 선조와 후손을 명기한 세계도를 본권 앞에 제시하였다.

  • 석룡산 / 石龍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과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걸쳐 있는 산. 석룡산은 북위 38°59′52″, 동경 127°28′44″에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북쪽에서 발달한 광주산맥의 지맥이 남동방향으로 발달하여 있다. 식물구계 지리학상으로볼 때 한반도 중부아구에 속한다. 정상에 꾸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