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서흥강 / 瑞興江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서흥군(지금의 황해북도 서흥군)의 말굴이고개에서 발원하여 은파군에서 은파천과 합류하여 재령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00.8㎞, 유역넓이 1,373㎢이며, 대동강의 제2지류이다. 이 강은 홍수천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16개의 지류들이 흘러들며, 또한 1961년

  • 서흥군 / 瑞興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중동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수안군·신계군, 서쪽은 황주군·봉산군, 남쪽은 평산군, 북쪽은 평안남도 중화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58∼126°24′, 북위 38°20′∼38°42′에 위치하며, 면적 914.5㎢, 인구 7만7689명(1944년 현재)이다.

  • 서흥김씨삼강정문 / 瑞興金氏三綱旌門 [사회/가족]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에 있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김충수 관련 문(門).정문(旌閭). 시도기념물. 경기도 기념물 제77호로 충신 김충수(金忠守)와 그의 아들 김함(金涵)이 지평(持平)으로 추증됨과 후손의 열부를 기록하였다. 1636년(인조 14) 김함의 손자

  • 서흥향교 / 瑞興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서흥군 서흥면 화곡리에 있는 향교. 1754년(영조 3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좌우협실·동무(東廡)·서무(西廡)·동랑(東廊)·서랑(西廊)·신문(神

  • 서흥호 / 瑞興湖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봉산군과 서흥군(지금의 황해북도 봉산군·서흥군·인산군·은파군)에 걸쳐 있는 호수. 넓이 16.83㎢, 둘레 91.3㎞, 길이 19.3㎞, 너비 0.8㎞. 1961년에 완공된 이 호수는 재령강의 상류인 서흥강을 막아 황해북도의 봉산군·사리원시·은파군·황주군·송림시

  • 서희순 / 徐憙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3∼1857). 1816년(순조 16)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대교·응교·대사성·이조참의·대사간·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예조참판·직제학·대사헌·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855년(철종 6) 진위 겸 진향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 석가모니 / 釋迦牟尼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개조이름. 석가는 종족의 이름이다. 석가모니는 석자족 출신의 성자란 뜻이다. 중인도의 가비라의 성주 정반왕의 태자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마야부인이다. 석가의 생몰년대는 여러 이설이 있다. 중국, 한국 등 북방에서는 BCE 627년으로 불탄년을 기려왔다. 그러나

  • 석가여래십지수행기 / 釋迦如來十地修行記 [문학/고전산문]

    1328년(충숙왕 15)에 간행된 불전 소설집(佛傳小說集). 1권 1책. 한문 목판본, 한문 필사본. 불타의 전생담 내지 강탄(降誕)·행적담을 집성한 서사 문학이며, 소설집이다. 이 수행기는 불타의 일생 행적을 보다 완벽하고 풍성하게 작성하려고 그 전생담 가운데 저명하

  • 석각천문도 / 石刻天文圖 [과학/과학기술]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 소장되어 있는 돌에 새겨진 천문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돌판 위에 별자리를 새겨놓은 석각천문도(石刻天文圖)이다. 이 석각천문도의 앞면에는 서양식 별자리가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8방위의 방향표가 새겨져 있다. 이 유물은 원래 충청북도

  • 석견루시초 / 石見樓詩鈔 [언론·출판]

    저자 이복현(1767-1853). 간본. 2권 2책. <석견루시초>는 맨 앞에 홍석주와 이만수의 서문이 나오고, 그 다음에 김이도, 김려, 김선, 이익회, 서영보, 신위, 김유근, 이낙수, 이지연, 김정희의 발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