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서포집 / 西浦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학자 김만중(金萬重)의 시문집. 상하 10권 2책. 목판본. 아들 진화(鎭華)가 1702년(숙종 28)에 편집, 간행하였다. 『서포집』 권두에 김창흡(金昌翕)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오언고시 34편, 권2는 칠언고시 26편, 권3은 오언율시 59편, 권4
서필원 / 徐必遠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서익 증손, 할아버지는 서용갑, 아버지는 서운기이다. 어머니는 이택민의 딸이다. 김집과 정홍명에게 수학하였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부수찬, 사간원헌납, 이조좌랑, 평안도어사, 충
서하집 / 西河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林椿)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저자가 죽은 지 20여 년 뒤에 그의 지기(知己)였던 이인로(李仁老)가 유고를 수습하여 편집하고 서문을 지었는데, 이인로가 죽은 2년 뒤 1222년(고종 9)에 당시 실권자이던 최우(崔瑀)의 힘을 입어 처음
서학 / 西學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선조 이후 중국에서 도입된 한역(漢譯) 서양 학술서적과 서양 과학기술문물과 이를 토대로 연구하던 학문. 조선서학이라고도 한다.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명말·청초의 중국에서 포교활동에 종사하던 예수회(耶蘇會, Society of Jesus) 소속의 카톨릭 선
서한만 / 西韓灣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철산반도(鐵山半島)와 황해도의 장연반도(張淵半島) 사이의 황해안 연안에 있는 만. 동해안의 동한만에 대비되는 한반도 서안의 만으로 그 폭은 약 150㎞, 만입은 약 70㎞이며 수심은 얕아 30m를 넘지 않는다. 조수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에는 연안을 따라 간석지
서한연의 / 西漢演義 [문학/고전산문]
중국 『서한연의』의 번안소설. 1책. 한글필사본. 겉표지에 ‘우미인가 서한연의’라 쓰여 있고 그 우측 상단에 ‘긔미’라는 간기가 있어, 1859년이나 1919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앞부분에는 가사형식인 「우미인가」·「항우가」·「초한가」·「충효가」 4편이 있다.
서해갑문 / 西海閘門 [지리/인문지리]
남포시 와우도구역 영남리와 황해남도 은율군 송관리 사이의 대동강 하구에 있는 북한의 대표적인 갑문. 미림갑문(美林閘門)ㆍ봉화갑문(烽火閘門)과 함께 북한의 3대갑문으로서, 1981년 5월에 착공되어 1986년 6월에 완공되었다. 공사기간 중에는 남포갑문으로 명명되었으나,
서해대교 / 西海大橋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복운리를 연결하는 다리. 총 길이는 7,310m로 왕복 6차선 규모에 도로 폭은 31.4m이다. 이 중 사장교 구간은 990m, PSM교 구간은 5,820m 그리고 FCM교 구간은 500m이다. 이 중 사장교 구간은
서해도 / 西海道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5도의 하나. 지금의 황해도 지방에 비정된다. 태조 때 고려의 영역이 되었으며, 995년(성종 14)에 10도제를 실시할 때 관내도에 소속되었고, 1018년(현종 9)에 서해도로 되었다. ≪고려사≫ 지리지에 나타난 이 때의 서해도 관할구역은 1대도호부 1목
서해무릉기 / 西海武陵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남자주인공이 왜적에게 빼앗긴 신부를 구해 돌아오는 이야기를 엮은 것으로, 혼사장애담(婚事障碍談)에 속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구성은 ‘지하국대적퇴치담(地下國大賊退治談)’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외지동 팔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