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 舒川苧山八邑─ [생활/민속]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서천군 한산면을 중심으로 한 모시 주산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전승되던 여성 중심의 길쌈노래를 놀이로 재구성한 것이다. 서천·부여·보령 등지는 옛부터 모시 주산지로, 여성들이 주로 실내에서 모
서천향교 / 舒川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에 있는 향교. 1413년(태종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향전(鄕傳)에 의하면 756년(경덕왕 15) 처음으로 문산면 문장리 향교골 돌고개 쪽에 암자 형식으로 세워졌다가 1314년(충숙왕 1
서천화력발전소 / 舒川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화력발전소. 시설용량 40만㎾(20만㎾급 2기)의 무연탄과 중유 혼소용 화력발전소로 인근 해안에 천연기념물 제169호인 동백정과 마량리 동백나무숲이 있어 경관이 수려하고, 구내에 설치된 무연탄 수송 전용철도 역사를 동백역으로 명명하여
서초구 / 瑞草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중남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강남구, 서쪽은 관악구와 동작구, 북쪽은 한강, 남쪽은 경기도 과천시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56'~127°05', 북위 37°25'~37°28'이다. 면적은 47.00㎢이고, 인구는 44만 6764명(2015년 현재
서초패왕기 / 西楚覇王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1848년(헌종 14)에 간행된 목판본 『삼설기(三說記)』에 실린 작품 중의 하나이다. 활자본은 조선서관판 『별삼설기(別三說記)』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서한연의(西漢演義)」에서 연유하며, 초패왕에 관한 설화를
서침 겸유곡도찰방 해유문서 / 徐琛 兼幽谷道察訪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724년(경종 4) 3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兼巡察使)에게 올린 첩정이다. 서침(徐琛)은 필하(必遐)의 아들로 1717년(숙종 43) 문과에 급제하였다. 1722년(경종 2) 3월 27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년 4월 11일에 사조(辭朝)한 후 동월 16
서파문집 / 西坡文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문인 이이두(李以斗)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41년 손자 상준(相駿)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상화(相驊)·상준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120수, 서(書) 3편, 잡저 4편, 제문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輓)
서포가문행장 / 西浦家門行狀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광산김씨 족문(族門)의 삼대 총부(冢婦)에 대해 지은 행장집. 가전류(家傳類) 작품으로, 입전대상인물은 김만기(金萬基)·만중(萬重)의 모부인인 해평윤씨, 해평윤씨의 맏며느리 청주한씨, 청주한씨의 맏며느리인 한산이씨이다. 「태부인행습유록」은 「졍경부인ᄒᆡ평윤
서포리해수욕장 / 西浦里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의 남쪽에 있는 해수욕장. 서포리해수욕장은 서해안을 대표하는 해수욕장으로, 도서지방에 자리한 해수욕장 가운데 제일로 꼽힌다. 1957년에 개장하였으며, 이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서포리는 1977년 3월에 서해안의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1
서포만필 / 西浦漫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수필·시화평론집. 2권 1책. 필사본. 권1인 상권에 102조, 하권에 161조 등이 실려 있다. 여러 이본들이 전하나, 내용은 거의 같다. 내용의 대부분은 우리나라 시에 관한 시화(詩話)로 이루어져 있다. 또 소설이나 산문에 관계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