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서종급 / 徐宗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8∼1762). 권상하의 문인, 숙종 때 과거로 관직에 나아가 경종 때에 지평으로 왕세제의 대리청정을 건의한 조성복을 두둔하였다가 유배되었다. 영조가 즉위하자 다시 등용되어 진주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대사헌·홍문관제학 등 삼사

  • 서종태 / 徐宗泰 [종교·철학/유학]

    1652(효종 3)∼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학자. 병조참의 문상 아들이다. 1675년(숙종 1) 생원시에 장원, 1680년 문과별시에 급제하고, 이듬해 검열이 되어 실록청도청·낭청으로서 『현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가 폐위

  • 서주연의 / 西周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신마소설(神魔小說)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번역본. 25권 25책. 한글필사본. 『서주연의』는 『서유기(西遊記)』와 함께 대표적인 신마소설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무왕이 주를 벌했다는 역사 사실을 주요 골자로 삼고, 당시 민간의 전설을 널리 채록하여 소설화한

  • 서창경 / 徐昌鏡 [종교·철학/유학]

    1726(영조 2) ~ 1799(정조 23). 증조는 공완, 조부는 명구이다. 1762년(영조 38)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대나무ㆍ국화ㆍ파초를 심어 자신의 뜻을 붙이고,봄가을 경치가 좋을 때 산책하며 시를 읊조리면서 일체의 세미에는 담박하였다. 평생을 독행으로 일관하며

  • 서창재 / 徐昌載 [종교·철학/유학]

    1726년(영조 2)∼1781년(정조 5).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엽, 어머니는 권붕석의 딸이다. 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주역》을 스승 없이 혼자 대의를 깨달았으며, 음양·복서·병진의 설에 두루 통하였다. 권구연·홍준·권정운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토론하였

  •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 舒川 馬梁里 冬柏─ [과학/식물]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있는 동백나무숲. 천연기념물 제169호. 면적 8,265㎡. 서도국민학교에서 4.5㎞ 정도 떨어진 바닷가의 낮은 언덕에서 자라고 있다. 서쪽 바닷가는 바람이 강하여 몇 그루밖에 남지 못하였고 동쪽에만 7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이것들도

  • 서천 신송리의 곰솔 / 舒川 新松里─ [과학/식물]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에 있는 소나무. 높이 1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4.6m이며, 2m 높이에서 줄기가 2개로 갈라져 있다. 남쪽 줄기의 밑둘레는 3.1m이고 북쪽 줄기의 것은 3.05m이다. 수관폭(樹冠幅: 나무의 줄기 위에 있어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 서천갯벌 / 舒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과 장항읍 송림리 유부도 일대의 연안습지. 서천갯벌은 금강 하구에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 3대 철새도래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많은 철새들이 찾는 곳이다. 국토해양부는 2008년 1월 29일에 충청남도 서천군 일원의 갯벌 16

  • 서천선도리유적 / 舒川船島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생활유적. 유적은 해발 20m내외의 얕은 구릉의 말단부에 있는데, 그 북쪽으로는 지근 거리에 백제시대의 산성이 있고, 서남쪽에 고인돌[支石墓]이 있으며, 그 앞에는 농경지와 서해바다가 광활하게 펼쳐진다. 조사된 유구는

  • 서천이하복가옥 / 舒川李夏馥家屋 [생활/주생활]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중요민속자료 제197호. 이 집은 19세기 후반에 3칸 안채를 건립한 후 20세기초에 사랑채, 아랫채, 광채를 지으면서 안채의 좌우측을 증축한 것이다. 이 집은 사랑채의 우측에 아래채를 별설하여 며느리에게 독립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