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노성향교 / 魯城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1398년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그 뒤에는 1967년과 1975년에 중수하였다는 기록만이 전한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가을에 석전(釋奠
노오재집 / 老梧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임태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활자본. 1922년 손자 선호(宣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임원호(任原鎬)의 서문과 권말에 선호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
노용호 / 盧龍鎬 [역사/근대사]
1904년(광무 8) 8월 7일∼1970년 7월 14일. 일제 강점기의 관료. 창씨한 이름은 강촌용호(岡村龍鎬)이다. 본적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기산면(麒山面)이다. 1923년 경성제일고등학교, 일본 교토제삼고등학교와 교토제국대학 법학부를 마쳤다. 1935년 조선
노응규 / 盧應奎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의병장(1861∼1907). 허전 문인이다. 을미사변 후 안의에서 의병을 일으켜 진주성을 공격하여 장악하였다. 1902년 동궁시종의 직책을 맡았으나,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사직한 뒤, 한성 진군 계획의 누설로 체포되어 한성경무서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197
노인정회담 / 老人亭會談 [역사/근대사]
1894년 대군을 출병시킨 일본이 조선측의 철병 요구를 거부하면서 조선의 내정 개혁을 요구한 회담. 조선은 1894년 7월 서울 남산에 있는 민영준의 별장 노인정에서 오토리 공사를 대표로 일본과 회동하여, 일본의 내정 개혁 요구를 정식으로 거부하였다. 오토리 공사는 내
노전문고 / 老田文稿 [종교·철학/유학]
대한제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문인 정환국의 시·만사·서(書)·서(序) 등을 수록한 시문집. 필자의 본관은 오천(烏川), 자는 공좌(公佐), 호는 노전(老田)이다. 아버지는 정원화(鄭元和), 어머니는 진주강씨(晉州姜氏)이다. 문집의 내용은 시(詩) 224수, 만
노정약기 / 路程略記 [역사/근대사]
공주 출신유생 김원명이 1895년 4월부터 1896년 1월까지 중국을 여행하고 돌아온 과정을 기록한 견문록. 김원명의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공주 출신의 유생이다. 김원명은 이 책에서 1895년 4월공주를 출발해 서울, 인천을 지나 황해도 신천의 안태훈(安泰勳)집에서
노태준 / 盧泰俊 [역사/근대사]
1911-1970. 독립운동가. 호는 무웅(無雄). 임시정부 군무총장 백린(伯麟)의 차남이다. 1931년 3월 난징(南京)에서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였으며, 이듬해 4월에는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교육 및 훈련을 받았다. 1936년 졸업하여 한국독립당 청년단을
노한사전 / 露韓辭典 [언어/언어/문자]
1874년 상페체르부그르(C.ПeTepóyprb : 지금의 레닌그라드)에서 푸칠로(Пyuиππo,M.)에 의해서 편찬, 간행된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대역사전(對譯辭典). 러시아어의 주제어휘 총수는 약 7,300어 정도에 달한다(1면당 평균 10어). 러시아어는 활판인쇄이
녹스 / Philander. C. Knox [정치·법제/외교]
1853-1921. 미국의 국무장관, 변호사. 1904년 상원의원이 되었다. 태프트가 대통령이 되자 국무장관에 지명되었다. 그는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였고 중국 진출을 꾀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남만주철도의 중립화를 계획하였다. 1916년 상원의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