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남해도 / 南海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남해군에 있는 섬. 2009년을 기준으로 창선도의 인구를 포함하면 5만 557명(남자 2만 4157명, 여자 2만 640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만 2234세대이다. 남해군에는 남해읍을 비롯하여 9개의 면이 있다. 이 가운데 창선도는 창선면으로 구
낭도 / 狼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46명(남 148명, 여 198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02세대이다. 취락은 섬 중앙의 만안(灣岸)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7㎢, 밭 0.61㎢, 임야 3.13㎢이다.
낭림산 / 狼林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희천군 신풍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성용면·대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14m.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도계를 이루고 있는 묘향산맥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관북지방과 관서지방의 경계가 되는 낭림산맥에 근접하여 있다. 북동쪽에는 웅어수산(雄魚水山, 2,099m)
낭림산맥 / 狼林山脈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와 평안남북도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남북 방향의 산맥. 암석은 대체로 결정편암·화강편마암 및 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생대 이후 해침을 크게 받지 않은 안정된 지대로서 퇴적암의 분포는 협소하다. 식물은 한대침엽수림이며, 기후를 보면 연평균기온 5℃ 이하,
내나로도 / 內羅老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동일면에 속하는 섬. 외나로도와 함께 봉래면(蓬萊面)을 이루다가 1964년봉래면 내도출장소(內島出張所)가 설치되었고, 1990년 7월 1일로 면으로 승격, 동일면으로 행정구역명이 정해졌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육지와의 교통편은 배를 이용해야 했으나 1
내도 / 內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32명(남 18명, 여 1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4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북쪽 선착장 주변 사면에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05㎢, 임야 0.19㎢이다. 주로 콩·
내성천 / 乃城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오전리의 선달산(1,236m)에서 발원하여 남류 및 남서류하여 영주시, 예천군을 지나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에서 낙동강에 합류하는 하천. 내성천의 상류는 벼의 재배가 활발하지 못하고 주로 조·옥수수·두류·감자와 유채작물(참깨·들깨·고추·인삼), 그
내소사일원 / 來蘇寺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있는 내소사 일대의 경승지. 전라북도 기념물 제78호. 지정면적 16,725㎡. 변산반도 국립공원에 속하는 지역으로 부안읍에서 서남쪽으로 약 30㎞에 있다. 옛날에는 선계사(仙溪寺)·실상사(實相寺)·청림사(靑林寺)·내소사의 4대 사찰이
내연산 / 內延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711.3m.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있는 산으로, 북쪽에는 동대산(東大山, 792m)·바데산(645m)이 있고, 서쪽 4㎞ 지점에는 6·25의 격전지인 향로봉(香爐峯, 929m)이 있다.
내장산 / 內藏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과교동·임암면, 순창군 북흥면, 장성군 북하면·북이면에 걸쳐 있는 산. 내장산은 1971년 11월 17일 인근 백양사 지구와 함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총면적은 81.715㎢에 달하고 전라북도에 47.504㎢, 전라남도에 34.211㎢ 포함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