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서연관 / 書筵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리들의 총칭. 고려시대의 서연관에 대해서는 그 직제만 겨우 알 수 있다. 또, 고려 말에 경연이 서연으로 격하됨에 따라, 서연관도 왕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리들을 일컫는 말이 되었다. 서연관은 문과급제자 가운데서 학문과 덕망이
서염순증시문서 / 徐念淳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판서 서염순(徐念淳)에게 '문숙(文肅)'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근학호문왈문 집심결단오라숙'이라 적어 문숙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 8월 26일 순종은 57명에게 시호를 내렸다.
서영 / 西營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평양에 둔 친군영. 1884년 훈련도감 등 구군영을 개혁하여 중앙군을 친군오영으로 재편성하면서 지방군도 친군영 조직으로 개편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평양감영군도 1885년 친군서영으로 재정비 되었다. 서영의 조직이나 훈련은 중앙의 친군영편제와 조련방법에 따
서영보 / 徐榮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59∼1816). 1789년(정조 13)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1790년에는 성절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8년 심상규와 함께《만기요람》을 편찬하였다.
서예 / 書藝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중서문하성에 2인, 춘추관에 4인, 동궁에 2인, 비서성에 18인을 두었으며 태사서예도 있었다. 서예는 입사직으로서 동정직이 설정되어 있었다. 한편, 중서서예·비서서예·사관서예·태사서예는 1076년(문종 30)의 전시과에서 제16과에 해당되어 전지
서예원시장 / 徐禮元諡狀 [정치·법제]
조선 중기의 무신 서예원(徐禮元)에 대해 시호를 주층하기 위해 1902년(고종 39)에 서정순(徐正淳)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군배신의 벼슬이 추증된 직후 궁내부특진관 서정순에 의해 작성되었는데, 이 시장에는 서예원이 어떤 시호를 받았는지는 보이지 않
서옥 / 壻屋 [사회/가족]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딸이 시집으로 옮겨갈 때까지 사위가 머물게 하는 집. 서옥이라는 말이 처음 쓰인 것은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서이다. 동이전의 고구려조에 “처음 말로써 혼인을 정하고 다음에 여자의 집 대옥(大屋) 뒤에 소옥(小屋)을 지어 서
서옥기 / 鼠獄記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문필사본. 서류(鼠類)의 소송사건을 의인화하여 소설로 쓴 작품이다. 한글본 「서동지전(鼠同知傳)」이나 한문본 「서대주전(鼠大州傳)」과는 별개의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의인화된 쥐들의 소송사건을 통하여 인간사회의 소송사건과, 자기의
서왕가 / 西往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기에 지어진 불교가사.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지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나 확실하지는 않다. 이 견해를 인정하면 최초의 가사 작품이 되며, 가사 장르 형성 초기의 양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그 문학사적 가치가 크다. 크게 6문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요지는
서운관 / 書雲觀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기상관측 등을 관장하던 관서. 천변지이를 관측, 기록하고, 역서를 편찬하며, 절기와 날씨를 측정하고, 시간을 관장하던 곳이다. 고려시대는 태복감(太卜監)·사천대(司天臺)·사천감(司天監)·관후서(觀候署) 등의 명칭으로 바뀌어오다가 1308년(충